오월의 밤 기담문학 고딕총서 3
니꼴라이 고골 지음, 조준래 옮김, 이애림 그림 / 생각의나무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은 가장 위대한 러시아 작가 중 한 사람이지만, 정작 그는 일생동안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생각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오월의 밤』에는 민족적이고 종교적인 색채가 짙게 풍긴다. 언제나, 어김없이, 카자크인들에 대한 애정과 그리스도에 대한 신뢰, 이교도에 대한 비웃음이 감초처럼 숨어있다. 자, 이런 고골의 손을 거친 슬라브 설화의 세계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오월의 밤』이 만들어 놓은 세계에서 인간은 악마와 공존하고 있다. 악마의 존재는 두렵고 기이하지만 위화감을 주지는 않는다. 악마는 인간의 고통스럽고 시끌벅적한 일상의 한 부분일 뿐이다. 「비이」의 마녀, 「무서운 복수」의 마법사, 「성 요한제 전야」의 바사브류크. 사람들은 이들 존재에 화를 내고, 맞서고, 욕을 하면서도 그 존재를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마치 이웃처럼. 인간은 왜 그들을 이야기하게 되었을까? 우리의 삶은 유한하다. 그러니 그 한계도 뚜렷하다. 한 마디로 인간의 삶이란 초라하고 나약하기 그지없다. 이런 우리라서, 닿지 못할 것과 이르지 못할 곳에 대한 바람과 두려움으로 이런 이야기를 만들어낸 것은 아닐지.
 
중단편 6작품을 모아놓은 이 책에서 앞 부분에 수록된 두 편은 어둡고 무섭다. 「비이」에서 난데없이 나타나-등 뒤에 붙어 얼굴을 볼 수 없다는 것이 당하는 입장에서는 더 큰 공포다-알 수 없는 곳으로 끝도 없이 달리게 만드는 마녀는 무섭다. 「무서운 복수」에서 영혼의 영원한 안식을 담보로 이루어진 복수의 요구는 너무도 어둡다. 하느님 앞에서 죽은 이가 요구했던 그 끔찍한 복수는 어둡고 무섭고 깊고 지독하다. 이 두 작품에 비해 뒤에 수록된 나머지 작품들은 절망의 빛이 덜하며 조금은 교훈적이고 혹은 밝고 명랑하기까지 하다.

악마와의 마주침은 「저주받은 땅」의 할아버지처럼 잠시 고생하는 것으로 끝나기도 하고, 「물에 빠져 죽은 처녀」의 레프코처럼 호박이 넝쿨째 굴러오는 행운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성 요한제 전야」의 페트로처럼 한 줌 재로 돌아가는 경우도 있다. 이렇듯 그 과정과 결말은 제각각이지만 그 시작은 결국 한 뿌리에서 나온다. 인간의 탐욕과 공포다.

그러니 악마의 이야기를 즐기기는 하되 악마와 가까운 사이가 되고 싶지 않거들랑 욕심도 그만그만하게, 두려움도 그만그만하게 자신을 단속하시기를.

"나는 그가 왜 죽게 됐는지 알아. 그건 그가 두려워했기 때문이야. 만일 무서움만 타지 않았다면 마녀는 그에게 아무 해코지도 하지 못했을 거야." p88-「비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