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어드는 아이 - 에드워드 고리 시리즈 에드워드 고리 시리즈 10
플로렌스 패리 하이드 지음, 강은교 옮김, 에드워드 고리 그림 / 두레아이들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트리혼'이라는 안쓰러운 아이가 등장하는 [줄어드는 아이]는 플로렌스 하이드와 에드워드 고리의 '트리혼 3부작' 가운데 첫 번째 책이다. 이 작품 [줄어드는 아이]는 비교적 의도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책이다.

 

트리혼은 어느 날 문득 깨닫는다, 자신이 줄어들고 있음을. 시렁에 손이 닿지 않고, 옷은 점점 커지고, 식탁 앞에서 반듯이 앉았지만 부모들은 얼굴이 보이지 않는다며 바르게 앉으라고 야단을 친다. 트리혼은 이 무서운 현실에 어쩔 줄을 모른다. 부모님께 말씀드리지 않고 뭘 하고 있는 거냐고? 물론 부모님께 말씀을 드렸다. 그러나 사람이 줄어드는 법은 없다면 오히려 꾸중만 들었다. 담임도 교장도 주변에서 트리혼이 도움을 요청'해야 할' 그 누구에게서도 도움을 받지 못한다. 도움은커녕 이해와 위로조차 구경하지 못했다.

 

시간이 지나고 어른들의 무관심이 심해질수록 트리혼의 줄어듦도 속도가 붙어 결국 부모님도 트리혼의 문제를 인정하게 된다. 그렇다고 달라진 것은 없다. 그러니까 이해와 위로... 뭐 이런 것은 여전히 구경할 수 없다는 말이다. 엄마는 자신이 좋은 엄마였는데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아빠는 채소를 먹으라는 안 하느니만 못한 소리나 중얼댄다.

 

트리혼은 자신을 지켜주고 이해해주리라 생각했던 어른들에게 아무런 도움도 받을 수가 없었다. 트리혼은 점점 체념하게 되었을 것이다. 자신의 줄어드는 몸에 대해서가 아니라 어른들에 대해서 말이다. 결국 트리혼은 다시 커진다. 침대 밑에서 '줄어드는 아이들의 위한 게임'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트리혼은 깨달았을 것이다. 자신의 문제 앞에서 고민하고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은 자신뿐이라는 것을.

 

몸이 줄어드는 상황을 겪으며 트리혼은 성장했다. 씁쓸하고 외로운 세상을 조금 경험한 것이다. 이것이 그리 나쁜 상황은 아니다. 어차피 세상살이가 다 그 모양이니까. 무조건 부모나 주변의 어른들을 탓할 일도 아니다. 그들의 뻔뻔한 무관심이 옳은 것은 아니지만, 부모나 주변의 어른들이 과연 언제까지 그를 돌봐주겠는가. 줄어드는 아이가 나오는 이 이야기는 성장에 관한 이야기다. 어른들의 관심으로 행복하고 말갛게 자라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혼자 꿋꿋하게 자라는 이야기도 나름 괜찮지 않은가. 트리혼의 성장은 마지막 장면에서 나타난다. 몸이 연두색으로 변하는 문제를 만난 트리혼은 생각한다.

'이건 아무한테도 얘기 않는 게 낫겠어. 내가 아무 소리 않으면 아무도 그걸 알아채지 못할 거야.'

 

부모와 아이가 읽는다면 부모의 사랑과 관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생각하며 읽을 이 책, 그러나 나는 부모도 아니고 아이도 아니라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