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양프로젝트 - 얼렁뚱땅 오공식의 만화 북한기행
오영진 지음 / 창비 / 2006년 12월
평점 :
텔레비전에서 오지 탐험 프로그램을 본다. 제대로 된 길도, 집도, 물도 없다. 기후조차 인간이 제대로 연명해가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그곳의 삶을 보면 막막하고 두렵고 생경하지만 막상 그곳 주민들을 보면 우리와 크게 다를 것 없이 살아가는 것이다. 웃고, 울고, 욕심내고, 미래를 준비하고... 말이다. 북한에 대한 우리의 어떤 생각도 이런 오지의 삶에 대한 막연한 편견과 닿아있지 않을까? 이 작은 땅에서 걸어간들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릴까. 그런 거리에 있는 북한 주민과 우리들. 그러나 우리는 그들의 삶을 아프리카 오지의 삶보다 더 모르고 더 이해하지 못한다.
[평양프로젝트]는 작가 오영진이 경수로 건설 사업과 관련하여 이른바 '고난의 행군' 시기에 1년 반 동안 머물렀던 북한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고 있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평양 주민들의 일상을 보여주고 있다. 초기 설정 자체가 만들어진 것이므로 어디까지가 사실이며 어디부터가 허구인지를 가늠하기는 어렵지만 이 책에서 보여주는 남녀노소 평양 시민들의 생각과 말, 생활 모습은 대부분 그의 경험을 근거로 하여 쓴 것일 테니 실제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것이 평양 사람들의 실제 모습이라면 그들은 참으로 평범하게 살고 있다. 물론 평양이라는 지역적 특성이 있겠지만 우리가 막연하게 느끼던 폐쇄적이고 기계적인 삶을 사는 것이 아니라 우리와 마찬가지로 더 많이 갖고 싶어하고, 더 놀고 싶어하고, 더 행복해지고 싶어하는 사람들이었다. 학교를 휘어잡는 짱도 있고, 왕따도 있었다. 시부모와의 갈등도 있었으며 더 나은 학교와 더 나은 직장, 더 마음에 드는 아내, 더 능력있는 남편을 만나겠다는 욕망, 노인과 젊은이의 세대차이와 갈등도 있었다.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사람사이의 갈등과 감정과 문제들이 거의 다 있었다. 물론 정도와 농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우리 사회에서 통일은 점점 그 당위성이 희박해지고 있다. 아이들, 젊은이들...통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통일을 하면 독일처럼 경제적 부담을 떠안게 될까 걱정을 먼저 한다. 이런 생각의 한 켠에는 북한에 사는 사람들이 같은 민족이라는 것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 있지 않을까. 어떤 외국보다 더 먼, 갈 수 없는 나라이자 알 수 없는 나라에 사는 사람들이니 말이다. 그렇게 보았을 때 이 책의 미덕은 그곳도 사람 사는 곳이며 그 사람들도 우리와 같은 사람, 나아가서 같은 조상에서 나온 한민족이라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갖게 한다. 굳이 웅변하지 않고도 그들의 일상을 소소하게 풀어 그것을 알게 만들어 준다.
물론 이것은 과장된 북한의 모습이다. 죽음을 각오하고 탈북하는 사람들이 이제는 더이상 우리의 관심을 끌 수 없을 만큼 흔한 것이 북한의 극악한 상황을 설명하고 있으니까. 작가의 북한 경험이란 것도 어차피 북쪽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것을 본 것일 테고, 작가 자신이 북한 주민의 모습을 실제보다 더 긍정적(?)으로 그리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 삶을 위협받는 많은 북한 주민들이 아닌, 특혜를 받으며 그나마 사람답게 살고 있는 실제 평양 주민들도 여기에 등장하는 사람들보다 더 우리를 경계하고 거부할지도 모르고, 이처럼 자연스럽게 자신의 속내를 보여주거나 들킬만큼 여유로운 모습이 아닐지도 모르고, 우리와 비슷한 고민을 할 겨를이 없을만큼 생존을 위협받고 있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이산가족 상봉단, 국제경기 응원단, 국제경기에서의 북측 선수 등의 모습을 보면 우리의 생각이 그저 편견만은 아닐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그들 삶의 근본적인 모습이 책에서 보여주는 '그들도 우리와 같은 사람'이라는 사실을 어찌하진 못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