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 현대성의 형성-문화연구 10
김진송 지음 / 현실문화 / 199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한국의 근대성에 대한 새로운 탐색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새로움은 어디서 연유하는 것일까. 그것은 무엇보다도 먼저 이 연구가 주로 탐색하는 시대로 1930년대를 택했다는 점에서 나오는 것일 게다. 일반적으로 상상되는 한국, 혹은 조선의 1930년대는 암흑의 시대가 아니었던가?

우리는 '국사'를 배우면서 대략 1905년부터 조선이 식민지화됨으로써 우리 역사에 그늘이 드리워지기 시작했음을 느꼈고, 1910년부터 시작된 '일제 36년'에 대해서는 무단통치, 문화통치, 병참기지화정책 등으로 대강의 시대구분이 된다는 것을 배웠을 뿐이다. 그리고 각각의 시대는 그에 걸맞는, 서로 명도만 다른 어떤 무채색으로 채색되어지는 인상을 받았다. 그러다가 1945년 갑자기 조선반도에 찬란한 빛이 다시 비추기 시작한 것이었다.

그런데 왜 이 책은 한국의 근대성을 새로이 탐색하면서 1930년대를 다루는 걸까. 우리는 식민지 시대와 '근대'에 대한 식민지 근대화론과 수탈론 사이의 논쟁을 기억한다. 사실 이 논쟁은 각각의 논자가 근대라는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느냐 여하에 따라 그 입론이 판이해질 수밖에 없었으며 따라서 좀처럼 논쟁으로 성립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식민지 근대화론은 식민 잔재가 아직도 청산되지 않았다고 여겨지는 이 땅의 '정서상' 정당화될 수 없고 수용될 수 없는 측면이 '분명'하게 존재했으며, 수탈론에서는 국민'국가'가 부재한 근대적 제요소의 발전은 '진정한' 근대가 될 수 없다고 못박았다. 그럼 얼토당토 않은 1930년대를 들여다보면서 한국의 근대를 이야기하는 이 책은 그렇다면, 또 한 번 수탈론자들을 열받게하는 것임에 틀림없다. 이들은 다시 새로운 '~론자'들을 질타하고 반성시켜 순국선열을 모독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식민지 근대화 논쟁을 다소 스테레오 타입화 하는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이 책은 그러한 논쟁의 문제설정에서 벗어나 있다. 즉, 이 연구에서는 '근대'가 선험적인 당위로, 지향해야 할 목표로, 각 품목을 정확히 채워넣어야 할 종합선물세트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 통속적으로 남발되는 말을 굳이 또 한 번 쓰자면, 이 책은 우리 현대사를 '있는 그대로' 보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우리는 우리 역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을까. 이건 복잡한 인식론적, 현상학적 개념들을 끌어들이는 문제인가? 그렇지만은 않다.

간단한 변명이 가능하다. 일단 역사학의 방법론을 따르는 연구라는 점에서, 이 책에서 주목할 점은, 새로운 사료를 사용함으로써 우리가 기존에 견지했던 시선으로는 포착되지 않았던 역사의 층위, 당대 사회의 결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새로이 동원되는 사료는 기존의 정치사회사나 경제사에서 사용했던 사상사적 저작이나 주요한 정치적 사건에 대한 관편 보고, 경제 통계수치가 아니라, 식민지 시대에 발행된 문예대중잡지이다.

사료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근대를 설명하는 관점에 있어서도 '있는 그대로'라는 밑도끝도 없는 말에 대한 변명이 가능하다. 이 책은 '근대'를 우리가 사는 바로 이 시점과 동질적인 무엇으로 본다. 그래서 우리가 지금 삶을 살아가는 모습, 우리가 가진 심성 등이 지금같은 모양이 된 게 언제쯤이냐를 찾아 역사를 다시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의 탐구를 위해서 가장 적절한 사료는 그야말로 기존 역사학을 위해 '가공'되지 않은, 그대로 노출된 모습의 당시의 신문과 잡지였다. 그리고 그렇게 해서 놀라울 정도로 지금 우리가 사는 모습과 비슷한 시대를 발견한 것이 바로 1930년대였다.

광복 후 지난 5,60년의 현대사를 점철한 숱한 사건들을 겪어오며, 이제는 한참이나 멀어져 낯설기 그지 없는 식민지 암흑시대 1930년대에서, 우리는 근대적 인간으로서의 '나'를 만나는 것이다. 마치 우리가 지금 그러는 것처럼 '근대'를 당위적 목표로 설정한 인간들이, 식민지라는 모순적인 질곡의 상황에서 고뇌하며 꿈틀거리는 모습을, 그 누더기같지만 따뜻한 시선으로 보지 않을 수 없는 우리 자신을 만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