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스처 라이프 1
이창래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의 한국어판 서문을 보면, 이 소설의 최초의 의도는 일본군에 징발되어 정신대로 끌려갔다가 전후 서울의 한 빈민가에 살게 된 여자의 이야기를 쓰는 것이었다. 그러나 저자는 정신대 피해자들의 증언을 들으며, 자신이 그들의 경험과 진실을 제대로 포착할 수 없으리라는 느낌이 들어, 2년 동안 쓰던 원고를 폐기하고, 그 원고 속의 한 주변 인물이었던 조선계 일본인 위생 장교를 주인공으로 한 새로운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바로 그가 《제스처 라이프》의 주인공인 프랭클린 하타이다.
그런데 최초의 의도가 좌절된 탓인지, 결과적으로 이 소설은 특정한 주제를 다루었다고 말하기 애매한 작품이 되고 말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작품을 끝까지 읽고, 이것이 무엇에 대한 소설인가 하는 질문이 계속 똬리를 틀었다. 이 소설은 프랭클린 하타라는 한 사람의 삶을 나름의 완결성을 갖고 그려내고 있고, 물론 예술작품이라는 것이 어떤 특정한 사회적 조건의 전형을 형상화해야 한다는 법은 없지만, 그래도 하나의 제재를 가지고 끝까지 파고들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미국의 독자들 중에는 베스트 셀러의 목록에 오른 이 책을 보고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군이 동원한 “comfort women”에 대한 충격적인 보고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지만, 저자의 좌절된 의도가 말해주는 것처럼 이 책은 종군위안부에 대한 것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런 식으로 말하면 이 책은 또한 제국 일본의 소수자로서의 조선인의 정체성에 대한 것도 아니며, 뉴욕 교외의 고급 주택가를 배경으로 한 현대 미국 사회의 아시아계 소수인종의 삶의 조건을 그린 것도 아니다. 이 모든 것들은 작품 안에 소재로서 혹은 배경으로서 등장하기는 하지만, 모두 단막적인 에피소드로 처리되어 있으며, 결코 소설의 플롯 전면에 부각되지 않으며 분명히 드러나는 의미가 없다. 때문에 이 소설은 그저 이러저러한 소재들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고 독자들에게 환기하는 어떤 제스처들에 불과한 작품이 되고 만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소설의 제목인 “제스처 라이프”가 어떤 방식의 삶을 의미하는 것인지도 사실 모호한 측면이 있다. 범박하게 대립시키자면, 제스처 라이프는 ‘주위 사람들에게 칭송받고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에 조화롭게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삶’이며 이에 반하는 어떤 진정한 삶, ‘자신의 감정과 내면의 명령에 충실한 삶’이 있을 것이다. 이 두 가지 삶의 방식은 ‘일본인의 삶의 방식’과 ‘미국인의 삶의 방식’의 대립일까? 혹은 미국 사회에서의 ‘공적인 삶’과 ‘사적인 삶’의 서로 다른 방식 사이의 대립일까? 하타가 제스처 라이프를 살게 된 것은 반드시 전쟁기 경험의 트라우마 때문만은 아니다. 비록 그 경험에 의해서 그런 삶의 방식이 더 공고해졌을지 몰라도, 이미 그런 경험이 있기 전에 하타는 군의관인 오노 대위에게서 자신의 삶이 제스처 뿐인 것 같다는 지적을 받는다. 그렇다면 제스처 라이프란 자신의 출신으로부터 한 단계 우월한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해야 하는 사람들이, 정도는 다르지만 필연적으로 취해야만 하는 방식일까? 그런 삶의 방식 속에서는 진정한 관계, 연인이나 부부, 혹은 가족이라는 관계를 정상적으로 맺기는 불가능한 것일까? 메리 번즈나 서니가 하타를 이해하지 못하고 몹시 답답해 하고, 결국 결별한 것은 그런 하타의 삶의 태도 때문이었을까? 그렇다면 작품 종결부의 하타의 삶은 어떤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것일까? “물론 나와는 다른 색조로, 다른 마음으로 뒤를 돌아보겠지만, 내가 바란 것은 큰 집단을 이루는 것의 한 부분(비록 백만분의 일이라 해도)이 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제스처들뿐인 삶 이상의 어떤 것을 가지고 그 과정을 마치는 것이었다” 라는 하타의 말은 그래서 혼란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