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시골의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
프란츠 카프카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변신』은 독자들에게 많은 숙제를 남기고 있다. 왜 하필이면 『변신』의 형태로 그러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했는가? 왜 하필이면 벌레냐? 그리고 그레고르가 죽고 나서, 교외로 이사하는 잠자 씨 가족들이 행복해 보이는 이유는 또 뭔가? 그레고르가 벌레로 되지 않고, 그저 불치의 병에 걸렸다고 해도 - 그래서 아무 일도 못하고 앓아 누웠기만 해도 - 과연 그의 가족들은 그를 그토록 혐오했을까? 카프카가 생각하는 가족은 즉자태이지만, 가족이라는 것은 엄연히 존재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가족은 어떻게 해서, 어떤 원리로 굴러가게 되는가. - 어찌 보면 이것이 카프카의 문제의식일 수도 있다.

조금 조악하지만 이런 해석을 해본다. 카프카가 그레고르를 불치병에 걸리게 하지 않고 '벌레'로 변신을 하게 한 것은, '혐오스러움'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왜, 가족을 위해 자기 한 몸 아끼지 않고 외판원 일을 하며 혼자서 가계를 책임지는 그레고르가 혐오스러운 존재인가? 원래 한 집단 안에서 자기 혼자 모든 일을 떠맡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칭찬받고 갸륵하게 여겨지지만, 동시에 같은 사람들로부터 질시와 배척도 받기 쉽다. 그레고르도 그의 가족 안에서 그런 존재가 아니었을까? 가족들은 그에게 고마워했지만, 한편으로는 그를 '혐오'하기도 한 게 아닐까.

그레고르는 변신하기 이전에 집안의 실질적인 가장이었으며 '부의식' 자체였다. (그레테를 음악학교에 보내려고 벼르는 그를 떠올려 보자) 그가 벌레로 변신한 것은, 그에 대한 가족들의 무의식적 반발과 혐오가 반영된 것. 너무 무리한 해석인지도 모르겠다. 허나, 그레고르의 변신에서 죽음에 이르는 과정은 그의 가족들에게 어떤 위기의식을 갖게 해 주었다. 따스한 햇볕이 내리쬐는 날, 전차를 타고 교외로 나가는 잠자 씨 가족들은 미래에 대한 희망에 가슴이 부풀어 있다. 그레고르가 집안의 모든 것을 떠맡았을 때와는 다르다. 이제 그들은 각자 자신의 직업을 갖고 있었고 - 전혀 무능한 존재들이 아니었던 것이다 - 그들 각자가 가족이라는 공동체의 기둥이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족은 그레고르 때의 가족보다는 훨씬 안정되고 평온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