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읽기의 혁명
손석춘 / 개마고원 / 199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신문의 기사는 어느 경우에도 사실을 보도하지 않는다. 단지 사건만을 보도할 뿐이다.' 이것은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에서 김용옥이 한 말입니다. 『신문 읽기의 혁명』을 읽다보니 이 말이 자꾸 떠올랐습니다. 사실(事實)이란 '실제로 있거나 실제로 있었던 일'이고 , 사건(事件)이란 '문제가 되거나 관심을 끌만한 일'입니다. 결국 신문은 사실 - 삶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사실의 사건화를 통해, 다시 말해 사실들에 가치판단을 내린 그 결과물을 보도한다는 것입니다. 그런 가치판단의 과정이 기자가 취재할 사건을 선택하고 취재해서 기사를 쓰고, 편집기자가 표제를 달고, 편집국장이 신문 전체를 검토하는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편집'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 편집이라는 과정 속에는 그 나름대로 보편타당성을 지향하는 언론인들의 가치판단만이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 안에는 정치 권력의 위협, 광고주의 압력, 언론자본(신문사 모기업)의 요구 등의 외적 요인들이 개재되고 서로 착종하여, 신문 편집 과정에 영향을 끼치고 때로는 있는 그대로의 사상(事象)을 왜곡시키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 책의 저자는 독자들에게 '기사'가 아닌 '편집'을 읽어내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결국 저자가 말하는 신문 읽기의 혁명이란 지면을 분석하여 신문 편집 과정을 읽어내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사실 우리가 매일매일 읽는 신문,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내용'에 대해서는 나름대로의 비판적인 독해를 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책도 다소 비판적인 견지에서 읽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의 저자인 손석춘씨는 특정한 당파적 입장에서 자유로운지. 저는 이 책을 읽어내려가면서, 저자가 독자에게 끊임없이 특정한 신문을 '다시', 또 '비판적으로' 읽으라고 강요하고 싶은 욕망에 시달리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신문 읽기에 대한 이러한 좋은 저작이 진보일간지라는 한겨레 신문 외부에서 나왔으면 했는데 아쉽습니다. 어쨌든 사서 읽어볼 만한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