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이 사랑하는 삼각형 - 열기구에서 게임, 우주, DNA까지 거리와 각도의 놀라운 수학
맷 파커 지음, 이충호 옮김 / 해나무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1. 정말로 비범하면서도 유쾌하다. 일반적인 수학 도서가 생각나지 않을 정도로 재치있게 쓰여졌다. 재밌게도 Love Triangle이란 원제부터 스탠디업 코미디언인 제임스 에이캐이터의 농담으로부터 나왔고 한다. "모든 삼각형은 내가 삼각형을 사랑할 때 삼각관계가 된다." Love Triangle을 삼각관계와 사랑의 삼각형,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한 유머다. 정말로 저자의 머릿속은 종잡을 수가 없다. 휴가 기간에 도쿄에 갔을 때도 스카이트리에 드리운 그림자 끝자락을 보고 건물의 높이를 계산하는 모습. 그 또한 스탠드업 코미디를 하고 있는 교사라고 한다. 그래서 그럴까 "삼각형은 자연의 스도쿠와 같다"와 같은 비유나 언어유희로 풀어낸 덕분인지 어떤 수학적 개념이 등장해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2. 삼각형이라는 주제로 풀어내는 수학 교양서. 어찌보면 단순한 도형이 거대한 지식의 근본적인 토대가 되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이 독특하다. 삼각형은 일상에서 우주까지 모든 곳에 존재한다.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에는 토지 측량 문제가 적혀있었으며, 홍수 이후 경작지를 재분배하기 위해 기하학이 탄생하였다. 트럼프가 무심코 올린 사진에 삼각법을 이용하니 중요한 일급 비밀이 유출되기도 하고, 초은하단 같은 대형 구조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기술이 되기도 한다. 참으로 재미있는 일화의 향연이다. 이 책은 수학의 실용적 측면을 보여주려는 데 주안점을 둔 것 같다. 수학은 더 이상 신비롭지 않다. 오히려 삶의 모든 영역을 지탱하는 현실의 도구다.


3. 이 책의 핵심은 "모든 것은 삼각형이다"라는 문장일 테다. 이것이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 이 책은 무미건조한 수식만을 나열하는 책이 아니다. 저자는 삼각형이 모든 복잡한 형태의 기본 구성 요소임을 강조한다. 수학에서는 연속적인 격자 요소들의 집합을 메시(mesh)라고 하는데,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한 삼각형 메시는 비디오 게임, 영화 CG, 3D 프린팅 등 현대 기술의 핵심 동력이 된다. 대게 기하학은 고등학생에게 가장 어려운 과목으로 여겨진다. 이는 풍부한 공간적 상상력이 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은 그동안 우리가 두려워했던 기하학적 세계관을 친절하게 안내하는 큐레이터다. 경이로운 도형과 수식 앞에서 아름다운 설명을 곁들이는 우아함. 모든 것이 호기심을 자극한다.


4. 수학에 대한 진정성이 느껴지는 교양서이다. 유튜브부터 코미디 쇼까지 수학 커뮤니케이터로 활동한 저자의 경험도 한 몫 하는 듯 하다. 수학의 장점을 생각할 때 대부분 엄밀함을 떠오른다. 하지만 그는 되려 엉터리 같은 계산으로 에피소드를 풀어낸다. 도쿄 스카이트리의 높이를 계산할 때도 어림짐작을 보여주며, 이러한 접근이 정확하지 않았다는 걸 솔직하게 말한다. 이러한 대목에서 수학 문제에 부딪히던 학창 시절을 떠올리기도 했다. 수학은 엄밀하기도 했지만, 시행착오를 절실하게 느낀 과목이기도 했으니. 수학 전문가도 이렇게 난관에 부딪히는 과정을 보면서 자연스레 친근감을 느낀다. 수학의 즐거움을 전달하기 위해 저자의 애정과 세심함이 엄청나게 더해졌을 것이다. 삼각형을 사랑하는 '궤도'라면 아마도 이런 책을 쓰지 않았을까. 이처럼 친구처럼 따뜻하면서도 예술처럼 아름다운 수학의 파노라마를 경험해보시기를.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수학이사랑하는삼각형 #맷파커 #해나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