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 - 창의성은 어떻게 현대사회의 중요한 가치가 되었는가
새뮤얼 W. 프랭클린 지음, 고현석 옮김 / 해나무 / 2025년 6월
평점 :



이 글은 리앤프리를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는 창의성을 당연하다는 듯 미덕으로 여기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이 강력한 단어가 언제, 어떻게 우리 사회의 가치로 떠올랐는지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은 드물지 않을까 싶어요. 새뮤얼 프랭클린의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는 이러한 우리가 맹목적으로 추앙해 온 창의성의 역사적 뿌리를 집요하게 추적합니다. 저자는 문화사 연구자로서 스탠퍼트 예술 연구소의 연구원과 미국 자연솨 박물관 전시를 담당했던 이력이 있는 만큼 창의성의 최전선에 몸담고 있던 인물이라 할 수 있어요. 그러한 경험 덕분인지 치밀한 논증과 방대한 사료에 기반한 인사이트로 생각의 틀을 부수기에 충분했습니다. 창의성은 어떻게 현대사회의 중요한 가치가 되었는지 적나라한 진실에 목도하게 되죠.
이 책이 가장 흥미로운 이유는 창의성이란 시대를 초월한 보편적 가치라는 통념을 부순다는 점이에요. 놀랍게도 최근인 20세기 중반,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이라는 배경 속에서 사회, 경제적 필요에 의해 적극적으로 발명된 현상임을 설득력 있게 제시합니다. 저자는 마치 고고학자처럼 창의성이라는 단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그것이 어떻게 심리학 연구의 대상이 되고, 기업 경영의 핵심 전략과 광고 산업의 매혹적인 언어로 자리매김했는지 그 과정을 생생하게 그려내요. 냉전 시대 개인의 자율성과 국가 경쟁력을 동시에 고취해야 했던 미국은 창의성이라는 개념이 급부상했고, 기업들은 대량생산과 소비주의에 대한 비판을 무마하기 위해 창의적 개인이라는 이미지를 활용했던 것입니다. 이처럼 저자는 심리학, 경영학, 광고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를 종횡무진 넘나들며 창의성의 민낯을 파헤칩니다. 그동안 창의성 서적은 어떻게 창의적일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춘다면, 이 책은 우리가 왜 창의적이어야 하는 걸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우리의 가치관을 흔들어요.
더욱 인상적인 점은 저자가 단순히 창의성의 역사를 기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현상 이면에 숨겨진 모순과 때로는 기만적인 측면까지 날카롭게 파헤친다는 거에요. 책의 원제인 '창의성의 숭배(The Cult of Creativity)'에서 보듯이 저자는 창의성이란 단어 이면의 사회경제적 이해관계나 엘리트주의적 시각을 드러냅니다. 반복적이고 지난한 노력보다는 순간적인 영감을 과도하게 신비화하는 경향이 있었다는 지적들은 우리가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통념에 균열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비판적 접근은 오늘날 리처드 플로리다의 '창조 계급' 이론이나 실리콘밸리의 기업 문화와 같이 창의성 강박의 빛과 그림자를 이해하는데 실마리가 된다고 생각해요. 창의성이란 단어는 마치 마술사의 트릭처럼 자본주의를 미화하기 위한 하나의 이데올로기라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는 창의성이라는 키워드에 대해 깊이 있는 지적 만족감을 선사합니다. 단순히 창의성을 계발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 아니라, 우리가 왜 이토록 창의성에 열광하는지, 그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도록 돕는 인문학 서적에 가깝습니다. 특히 문화 트렌드나 사회 현상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거나 교육, 마케팅 같이 관련 종사자라면 흥미롭게 읽으실 수 있을 거에요. 이 책은 우리가 당연하게 여겼던 가치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함으로써, 세상을 좀 더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지혜를 건네줄지도 모릅니다. 개인적으로는 창의성에 열광하는 사회에서 한발 물러나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준 좋은 책이었습니다.
#리앤프리 #창의성에집착하는시대 #새뮤얼프랭클린 #해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