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우리의 질문 - AI와 우리를 위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질문 13
미리엄 메켈.레아 슈타이나커 지음, 강민경 옮김 / 한빛비즈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리뷰어스클럽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공지능은 이제 우리 삶을 지나 인류의 중심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습니다. 그 변화의 속도는 때로는 경이롭지만 동시에 그 방향성이 옳은지에 대한 깊은 고민을 안겨주죠. 미리암 메켈과 레아 슈타이나커가 함께 쓴 <AI 시대, 우리의 질문>은 이러한 시점에 시의적절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과 사회학, 그리고 미래 기술 교육 현장에서 쌓아 올린 두 저자의 전문성의 시너지. 그들은 기술 자체를 넘어 우리 사회와 인간에게 던지는 근본적인 질문들을 탐구하며 깊이를 더합니다. 이 책은 단순한 현상 분석이 아닌 다가올 미래를 위한 사유의 출발점을 제시해요.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함은 복잡한 AI의 세계를 매우 명료하고 접근하기 쉬운 언어로 풀어낸다는 점이에요. 배경지식이 부족한 독자라도 인공지능의 역사적 맥락부터 신경망과 같은 핵심 원리까지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1950년대의 챗봇 '엘리자'나 앨런 튜링의 '모방 게임'과 같은 흥미로운 사례들이 풍부하더라고요. 중요한 것은 이러한 설명이 기술 예찬이나 막연한 불안감으로 치우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저자들은 AI가 가져올 생산성 향상과 같은 긍정적 측면과 함께, 일자리 감소, 데이터 편향성, 사회적 불평등까지 우리가 직면해야 할 도전 과제들을 균형감 있게 조명합니다. 이러한 냉철한 접근은 우리가 인공지능의 양면성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현실적인 판단을 내리도록 도와줄 거에요.


무엇보다 이 책은 독자에게 완성된 답을 제시하기보다는 고민을 유도하는 강력한 질문들을 던지는 데 집중합니다. "AI는 실제로 얼마나 지능적인가?", "인간은 스스로를 어떻게 증명해야 할까?"와 같은 13가지 질문은 표면적인 논의를 넘어 기술의 본질과 인간의 역할에 대한 깊은 성찰을 유도하하죠. 이 과정에서 우리는 다가올 미래를 함께 고민하고 만들어가야 할 능동적인 주체임을 깨닫게 되는 거 같습니다. 저자의 사려깊은 메세지는 기술 발전의 향방이 결국 우리 손에 쥐어져 있음을 강조하며 인간 중심적 관점과 윤리적 책임의 중요성을 주장해요. 이는 AI 규제와 더 나아가 AI 윤리의 필요성을 상기시키죠. 우리는 기술 만능주의적 시각에서 벗어나 인간의 가치를 재확인해야 하는 시기에 온 듯 합니다.


<AI 시대, 우리의 질문>은 불확실성이 커지는 이 시대에 우리가 붙잡아야 할 AI의 핵심을 짚어주는 귀중한 지침서입니다. 인공지능에 대한 피상적인 설명에 머무르지 않아요. 이 책은 인공지능의 본질과 사회적 함의를 깊이 이해하고 싶은 분들에게 가장 필요한 교양을 전달합니다. 기술 발전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과 주체적인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고요. 이 책이 가진 보편적인 설득력과 스토리텔링은 책을 덮은 이후로도 큰 힘이 될 겁니다. 단순히 지식을 얻는 것을 넘어, 다가올 미래에 현명하게 대처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가장 추천하고 싶어요.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는 저에게 시의적절한 성찰의 기회를 얻을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리뷰어스클럽 #AI시대우리의질문 #미리암메켈 #레아슈타이나커 #한빛비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