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우리를 현혹하는 것들에 논리와 근거로 맞서는 힘
리처드 도킨스 외 30인 지음, 존 브록만 외 엮음, 김동광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이 책은 존 브록만의 엣지 시리즈입니다. 단순한 큐레이팅을 넘어, 시대의 지성들을 한데 모아 묵직한 질문을 던지는 지식 생태계의 보고라고 해야 할까요. 존 브록만이 엮은 <세상은 어떻게 작동하는가>는 리처드 도킨스, 대니얼 데닛 등 각 분야의 거장들이 참여한, 그야말로 '지적 향연'이라 부를 만한 도서입니다. 책 제목만 보면 왠지 딱딱하고 어려운 과학 이야기를 늘어놓을 것 같지만, 막상 펼쳐보면 우리 삶과 맞닿아 있는 주제들을 선정하여 끊임없이 생각하게 만드는 기회였어요.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은 바로 질문이 가진 힘을 제대로 보여준다는 점이에요. "시간은 언제 생겨났는가?", "근친상간은 왜 금기시되는가?"와 같은 질문들은 그저 단순해 보입니다. 하지만 그 안에는 우주의 기원, 인간 본성, 사회의 근간을 뒤흔드는 복잡한 고민들이 숨어 있습니다. 특히 리처드 도킨스의 "타당한 근거와 잘못된 근거를 어떻게 구분하는가"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그는 전통과 권위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허황된 믿음들을 날카롭게 해체하며, 증거에 기반한 합리적인 판단만이 진실에 다가갈 수 있는 방법임을 강조합니다. 가짜뉴스와 숏폼이 난무하는 정보 과잉 시대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만의 관점을 확립하고 싶다면 놓치지 말아야 할 지혜라고 생각해요.
더욱 인상적인 점은 특정 분야에 갇히지 않고 다양한 학문적 시각을 융합하여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입니다. 물리학, 생물학, 철학, 인류학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프리즘을 통해 세상의 이치를 설명합니다. 폴 데이비스는 물리학적 관점으로 시간의 본질을 탐구하고, 메리 캐서린 베이트슨은 '자연스러움'이라는 개념의 모호성을 파헤칩니다. 이러한 다각적인 접근은 우리에게 폭넓은 지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현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줍니다. 세상이라는 거대한 그림자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는 듯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어요. 이러한 융합적 사고는 더욱 복잡해지는 현대 사회를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인 소양일 겁니다.
<세상은 어떻게 작동하는가>는 일반인들을 위한 지적 자극제와 같습니다.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독자 스스로 질문하고 탐구하며 성장하도록 도와줘요. 어쩌면 이 책은 정답을 제시하는 게 아니라, 끊임없이 질문하며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가르치려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세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 싶거나 비판적인 사고 능력을 키우고 싶은 분들에게는 후회하지 않을 책일 거에요. 삶의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질문을 던진다면 이 책을 통해 새로운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고요. 31명의 세계적 석학과 함께하는 명쾌한 논리에 흠뻑 빠질 수 있던 시간이었습니다.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세상은어떻게작동하는가 #존브록만 #리처드도킨스 #대니얼데닛 #포레스트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