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과 논쟁을 벌여봅시다 - 12명의 천재 물리학자가 들려주는 물리학 이야기
후위에하이 지음, 이지수 옮김, 천년수 감수 / 미디어숲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오랜만에 만난 걸출한 과학 교양서였습니다. 아인슈타인과 한판 승부를 벌이는 듯한 제목. 하지만 내용을 읽어 보니 매우 친절한 과학 선생님이 들려주는 과학 콘서트였습니다. 서로 피튀기는 논쟁보다는 다함께 물리학으로 떠나는 환상적인 여정이었어요. 12가지 과학적 주제들을 탐구해보는 옴니버스식 구성이라 설명이 너무 늘어지지 않고 깔끔하게 끝납니다. 원리를 설명할 때 빵이나 범죄 사건 같은 현실적인 예시를 들어 재미있게 설명해요. 과학자들은 계속해서 의심스러운 용의자를 지목하지만 끝까지 특정하지 못하는 상황처럼 아직 물질의 최소 단위 구성이 무엇인지 밝혀내지 못했다고 합니다. 문화적으로 가까운 중국 저자라 그런지 한국인이 보기에도 익숙한 예시를 들어 이해하기 편하더라고요. 알파 입자 산란 실험은 곡식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던 키질과 같으며, 대자연의 자기 복제는 노자가 말한 '일생삼', 즉 하나에서 셋이 된다는 말과 일맥상통한다고 얘기합니다. 물리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친절한 구성입니다. 그렇다고 너무 이야기 형식으로만 풀어내며 과학적 사고 과정을 음미하는 데 소홀히 하지 않습니다. 필요할 때는 물리학의 다양한 공식을 보여주고 풀이하여 독자들이 수학적 추론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쉽고 친절한 설명을 지향하면서 과학적인 원리를 가능한 한 자세히 설명하려는 노력이 엿보여요.


 과학적 이론들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단순히 물리학 뿐만 아니라 화학, 천문학, 수학도 다루어 종합적인 과학 교양서라는 느낌이 듭니다. 원자나 양성자, 중성자의 내부는 텅 비어 있다고 해요. 이것은 끝없이 우주가 끝없이 거대하며 대부분의 공간이 칠흑같이 어두운 상태와 일치하죠. 미시적으로 봐도 거시적으로 봐도 우리는 서로 외로운 관계로서 살고 있습니다. 이처럼 화학과 천문학에서 찾을 수 있는 공통점을 매끄럽게 풀어내는데요. 물리학의 한 분야인 카오스 이론이 밝혀낸 사실은 미세한 변동이 시스템 전체에 예측할 수 없는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생물들이 진화할 때도 자기 복제 과정에서 일어난 돌연변이나 유전자 재조합 같은 작은 교란이 생태계의 거대한 변화를 가져옵니다. 여기서도 물리학과 생물학의 교차점을 찾을 수 있는 것이죠. 물리학으로 시작하는 이야기는 끝내 다양한 과학 지식을 융합하는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그동안 어렵다고 포기했던 물리학을 단단하게 마주할 수 있었던 기회였습니다. 다시 한번 물리학과의 진검승부였지만 학창 시절 만큼 어렵고 따분한 과정이 아닌 유쾌하고 즐거운 경험이었어요. 각 챕터의 주제도 흔히 접하는 뻔하지 않은 지식을 다루면서도 흥미로워서 좋았어요. 번역서지만 매우 자연스럽게 읽히는 점도 장점이에요. 역자의 노고가 돋보입니다. 이전에도 미디어숲 출판사의 <미적분, 놀라운 일상의 공식>를 읽어 본 경험이 있어요. 이 책까지 읽어보니 매우 양질의 과학 도서를 번역하는 출판사라는 생각이 듭니다. 한국에서는 자주 접하지 못하는 중국인 저자들의 교양 도서들을 번역하고 있더라고요. 개인적으로 해당 출판사와 중국인 저자의 신뢰가 높아지네요. 오랫동안 묵혀둔 물리학에 대한 호기심이 있는 분들, 이 책으로 시작하신다면 겁 없는 과학 애호가로 거듭나실 수 있을 거에요. 과학의 여러 지식들을 적절한 난이도로 담아낸 최고의 교양서 입니다.



3줄 요약

1. 저자는 과학적 원리를 친절하고 쉽게 설명하며, 복잡한 개념도 현실적인 예시를 들어 이해를 돕습니다. 필요할 때는 물리학의 공식과 수학적 추론 과정을 충실히 다루어 깊이를 놓치지 않습니다.

2. 물리학뿐만 아니라 화학, 천문학, 수학 등 다양한 과학 분야를 포괄하여, 다양한 과학 분야의 교차점에서 발견되는 연결성을 찾습니다. 통합적 지식을 얻기에 용이한 책입니다.

3. 과거의 어렵고 따분한 물리학 수업 대신 유쾌하고 즐거운 독서 경험을 제공합니다. 번역이 자연스럽고, 적절한 난이도로 쓰여져 많은 독자에게도 만족스러울 과학 교양서로 생각합니다.


#컬처블룸서평단 #컬처블룸 #아인슈타인과논쟁을벌여봅시다 #후위에하이 #미디어숲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