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렇게 안녕
김효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5년 10월
평점 :
이 소설을 읽는 동안, 그저 밝지만은 않았던 그 시절이 생각났다.
20대의 공기, 그 때의 체온, 그때만 가능한 충동과 무모함이 문장 사이마다 내게도 스며왔다.
작가는 그 시절의 우리를 특별하게 포장하지 않았다. 오히려 우아하지 못하고, 불안하고, 서로에게 상처를 주며 버텨내는 사람들로 그린다. 그럼에도 이 소설의 인물들은 이상하리만큼 ‘우아하다’.
그 우아함은 단정함이나 완벽함이 아니라, 엉망진창 속에서도 품위를 잃지 않으려는 마음,
끝까지 누군가를 이해하려는 시도, 그리고 자신을 놓치지 않으려는 몸부림인것일까
나는 책을 덮고 한동안 멍하니 있었다.
어쩌면 나의 20대도 그렇게 안녕을 고하고 있는 중일지도 모른다.
그 시절의 나는 여전히 무언가를 이루려 애쓰고, 사랑에 울고 웃고, 세계의 중심에 서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이제 돌아보면 그 모든 건 한 점에 불과했다.
짧지만 너무 뜨겁게 타올라 아직도 온기가 남아 있는 시기.
그리고 한통의 전화로 연결되어 버린다.
그들의 ‘우아함’이라는 단어가 자꾸 마음에 걸렸다.
나는 지금의 내 삶을 우아하다고 부를 수 없고,
그때의 나 역시 어디 하나 반듯하지 않았다.
하지만 작가가 그려낸 인물들을 따라가다 보면,
우아함이란 실은 세련된 포즈가 아니라 그럼에도 살아내는 태도인것이다.
버티면서도 누군가를 사랑하고, 다치면서도 다시 손을 내미는 사람들.
그 불완전한 인간다움 속에서
“그렇게 안녕”이라고, 그렇게라도 인사를 나누며 살아가자고.
나는 이상하게도 가슴이 먹먹했다.
인물들이 조금씩 멀어지고, 관계가 비틀리고,
그 빈자리에 남은 것은 단지 시간뿐이라는 걸 알게 되는 시점이었다.
그때 문득 느꼈다. 나도 내 20대에서 아주 많이 멀어졌구나.
그 시절의 나에게 닿고 싶었다. 말해주고싶었다.
우아함은 몰랐지만, 그때의 나는 매 순간 진심이었다는 걸 이제야 알겠으니까.
『그렇게 안녕』은 결국 한 시절과 자신에게 보내는 인사 같다.
잃어버린 관계들, 지나간 시간들, 다시 닿을 수 없는 평행우주 속의 나에게 건네는 마지막 안녕.
읽는 내내 마음이 저릿했지만,
이별을 반복하며 살아가는 게 인생이라면,
그 안녕의 방식이 이렇게 다정할 수도 있다는 걸 이 책이 알려줬다.
그들이 다른 우주에서는 행복하길
또하나의 나도 또 다른 평행우주에서 꿋꿋하게 살아가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