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루먼 스쿨 악플 사건 ㅣ 미래인 청소년 걸작선 4
도리 힐레스타드 버틀러 지음, 이도영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25년 8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2009년 한국어판 출간 이후 16년 연속 청소년 분야 베스트셀러로
40만 부 돌파 기념해서 나온 개정판이다. 16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익명성을 무기로 사람을 죽이는 악플러들이 존재하고, 왕따와 학교 폭력이 존재한다.
스마트폰과 SNS으로 인해 헤어날 수 없을 만큼 사람의 애간장을 끊는
더 지능적으로 악질인 사건에 경악하는 일도 종종 발생한다.
이 책이 "세상에나, 옛날에는 학교에서 이런 일이 발생했을 때도 있었구나"
라고 놀라게 되는 과거라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이 들면서
여전히 이 책이 던지는 메시지가 유효한 현실이 안타까웠다.
제이비와 아무르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되길 바라며
<트루먼의 진실> 사이트를 만들었다.
비슷한 시기에 이사를 와서 이웃이 된 제이비, 아무르, 릴리는 유치원에 입학하기 여름부터
초등학교 때까지 모든 걸 함께했다. 부모님들과 친구처럼 지내며 주말에는 세 가족이
함께 지내곤 했는데, 5학년이 되었을 때 릴리 부모님의 이혼 후 세 가정은 더 이상
전처럼 지내지 못했다. 부모님의 이혼으로 힘든 시기를 겪으며
릴리는 급속도로 살이 찌기 시작했다. 릴리는 뚱보가 되었다 초등학교 시절
마지막 방학 내내 캠프에 갔다 돌아왔을 때 갑자기 날씬해져 있었다.
캠프에서 만난 헤일리와 같은 중학교에서 다니게 되면서 제이비와 아무르와 멀어졌다.
릴리는 헤일리와 함께 인싸 모임을 만들어 헤어스타일, 화장법, 남자애 이야기만 해댔다.
릴리는 만화 그리기를 좋아하는 트레버의 그림을 보고 짓궂게 놀리는 아이에게
따끔하게 충고하는 정의로운 아이였지만, 헤일리 그룹과 어울리면서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었다.
인싸 그룹의 애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다른 친구를 짓밟는 사람으로
전락했다니 너무나 안타까운 일이었다. 친구와의 우정, 소속감이 중요한 시기가 중학생이라도
해서는 안 될 말들이 있는데 릴리는 그 선을 넘어버렸다.
아무르가 댄스파티에 가지 않는 걸 알면서도 사귀고 싶다며 댄스파티에 가자며 제안해놓고는
장난이었다며 너의 테러 명단에 올라가겠다며 인싸 그룹 친구들과 깔깔거렸다.
한때 절친이었던 아무르가 이슬람교인 줄 뻔히 알면서도 어떻게 그런 말을 해서
아무르를 웃음거리로 만드는지 예전의 릴리는 사라졌다. 심지어 트레버가 너무 못생겨서
트레버의 엄마가 트레버를 낳은 걸 후회하며 쓰러져 돌아가실지도 모른다는
망언을 했는데, 그러고 나서 이틀 뒤에 엄마가 정말로 쓰러져 돌아가셨다.
물론 우연의 일치이지만 해서는 안 되는 말이 있는 법이다.
어쩌다 릴리는 친구에게 그런 말을 하는 아이가 되어버렸을까?
부모님의 이혼을 기점으로 릴리가 자신의 능력을 좋은 일에 사용하지 않는
아이로 변했다는 것이 너무 안타까웠다.
헤일리 그룹에서 잘나가던 릴리는 숨기고 싶었던 자신의 과거 뚱보 시절
초등학교 졸업앨범 사진이 <트루먼의 진실>에 공개되면서 나락으로 떨어진다.
릴리가 뚱뚱했던 건 사실이지만, 릴리가 레즈비언이라는 엉터리 비밀이 폭로되면서
릴리는 균열이 생겼던 인싸 그룹과의 관계는 산산조각 나버렸다.
릴리가 동성애자든 아니든 사실 여부에는 관심이 없고,
그냥 가십거리이고 모두 릴리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하찮게 여기기 시작했다.
릴리는 자신을 곤란에 빠뜨린 게 사이트를 만든 제이비와 아무르라고 생각하지만,
릴리의 그간의 행실을 보면 누구에게나 릴리에게 복수할 이유가 있다.
인싸였던 릴리는 왕재수로 만든 건 누굴까.
숨기고 싶었던 과거가 폭로되고, 수백 개의 댓글과 진실게임이 시작되었다.
누구의 글도 사전에 검열하지 않아 발언의 자유를 주자는
제이비와 아무르의 좋은 의도와 달리 <트로먼의 진실>이
누군가를 공격하고 상처를 주고 해를 끼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릴리가 행방불명되면서 사이트는 결국 폐쇄되게 된다.
요즘의 끔찍한 뉴스와는 달리 행방불명되었던 릴리를 한때 절친이었던 소꿉친구들이 찾아낸다.
릴리 또한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자신을 곤란하게 했던 친구에게 사과를 했고,
전학은 갔지만 소꿉친구들에게 왕따 문제를 토론하는 사이트 운영을 제안하면서
아이들은 한 걸음 더 성장하게 된다. 아름다운 성장으로 끝맺음이 되어
천만다행이었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아서 피해자라고 해서 늘 선한 것도,
가해자가 늘 나쁜 것도 아닌 얇고 모호한 경계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