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미쳐가고 있는 기후과학자입니다 - 기후 붕괴 앞에서 우리가 느끼는 감정들
케이트 마블 지음, 송섬별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NASA 기후학자가 써 내려간 지구의 비망록이다.

온실가스가 지구 온난화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게 된 지 100년이 넘었는데도

대기 중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극히 부족했음에 화가 남과 동시에,

누가 온실가스를 배출했는지 떠올리면 죄책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어

괴로워하는 저자의 심정이 잘 전해졌다.

우리가 영영 잃어버릴 것들을 생각하면 지독한 슬픔이 차오르고

머지않아 분명 다가올 재난이 두렵기도 하고

지구를 참을 수 없이 사랑하는 너무나 많은 복잡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기후 변화 연구자로서 자신이 알고 있는 정확하나 사실을 객관적으로 알리고,

걷잡을 수 없이 무너져가는 세계에서 기후과학을 연구하는 것이 어떤 기분인지를

조금이나마 설명하고, 기후 문제에 대해 과학자이자 한 인간으로서 느끼는

너무나 복잡한 감정들을 전하고 싶은 저자의 간절함이 전혀졌다.

과학자라면 우리가 연구하는 세계에 대해 완벽하게 객관적인 태도로 감정을 배제한 채

중립을 지켜야 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할 수 있지만

자신은 지구에 대한 이해 상충이 있음을 밝힐 수밖에 없다고 고백했다.

자신이 사랑하는 모든 것이 지구에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과학자로서 이런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 더 많은 공격에 노출되거나

기후과학의 토대를 위태롭게 할까 봐 걱정되는 건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뼛속부터 과학자인 자신은 언제나 더 많은 데이터를 원하고,

중요한 사실들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훈련을 받은 사람이라는 점에서

저자의 말에 더 귀를 기울이게 되었다.

지구상에 인간의 영향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다.

인간은 어리석고 비열한 동시에 영리하고 친절하며 규칙을 준수하는 존재라

예측하기 어렵다. 미래의 기온은 예측할 수 있어도 우리의 마음과 의지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지만,

어쨌든 그런 인간에 의해 미래는 결정될 것임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변화하는 기후로부터 우리를 지켜주어야 하는 것은 시스템과 권력자들이다.

미래에 더 강한 기후 재앙이 찾아와 더 많은 피해가 생겨난다면,

재난을 막을 수 있는 것도 예방책을 세울 수 있는 것도 시스템이다.

결국 우리의 안전은 서로의 손에 달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안일하게 대응하고 있

기후 변화가 흑사병의 원인은 아니지만 기후 변화가 팬데믹과 연관되어 있음은 분명하다.

병원체는 환경 변화에 빠르게 반응해 진화할 수 있고,

기아와 스트레스는 숙주의 면역력을 약화시킨다.

기후 변화는 서식지를 이동시켜 동물과 인간이 접촉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가

전염될 가능성을 높인다. 인간 사회 역시 기후가 변하면 사람들이 집단 이동하는 경향이 생기며

그 과정에서 전염병이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다는 진부한 말은 여전히 진실이다.

북아메리카 서부의 산맥들이 유럽의 기후를 온화하게 유지하고,

열대 태평양에서 형성된 엘니뇨가 수천 킬로미터 먼 곳의 날씨를 바꾼다.

어디선가 배출한 온실가스 때문에 북극의 얼음이 사라지고,

제트기류가 불안정해지거나 휘고, 그러다가 먼 곳의 날씨가 변하면

그 어디도 안전하지 않다. 우리 모두가 우리 주변 생명체들과 같은 행성에 의지해 살아가고,

지구에서 탈출할 방법이 없음을 자각하고 모두에게 역할이 있고,

낭비되는 것 없이 모든 생명체가 효율적으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면

사랑할 수밖에 없다. 관계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생각하고 변화해야만 함을

격앙된 목소리로, 때로는 차분한 목소리로 함께여야만 살아갈 수 있다고 말하는 책이다.


#기후과학 #환경문제 #지구의비망록 #기후붕괴 #지구의위기 #나는미쳐가고있는기후과학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