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트레스 받는 사람들을 위한 쇼펜하우어 ㅣ 열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우르줄라 미헬스 벤츠 엮음, 홍성광 옮김 / 열림원 / 2025년 9월
평점 :

급격한 노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몸소 체험 중이라서 그런지
행복의 90퍼센트는 건강에 의해 좌우된다는 말에 100% 공감되었다.
건강은 모든 향유의 원천이 된다. 건강 없이는 어떤 종류의 것이든 외적인 자산을 즐길 수가 없다.
정신적 특성, 감정, 기질과 같은 주관적 자산조차 병약으로 인해 기가 꺾이고 크게 위축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만날 때 서로의 건강 상태를 묻고 건강하길 기원하는 것이다.
생업이나 승진, 학식이나 명예, 성적 쾌락이나 찰나적인 향락을 위해서
건강을 희생하는 것은 가장 어리석은 일이다.
건강이 있고 난 뒤에 다른 모든 것이 있음을 잊지 말아야겠다.

삶의 노고에서 벗어났다는 사실은 노년에 큰 위안이 된다.
가장 행복한 운명을 타고난 사람은 정신적으로뿐만 아니라 육체적으로도
그다지 큰 고통을 겪지 않고 살아온 사람이지,
대단히 큰 기쁨이나 엄청난 쾌락을 맛본 사람이 아니다.
살아가다 보면 인생에도 행복이든 고통이든 총량 법칙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일희일비하지 말고, 나의 평범하고 소소한 일상에 감사하는 마음이 중요한 것 같다.
쇼펜하우어도 인생이 어차피 불행하고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기에
현재를 즐기고 인생의 향유를 삶의 목적으로 삼아라고 했다.
현재만이 실재하며, 다른 모든 것은 단지 사고의 유희에 불과하다.
중요한 것은 어쩔 수 없는 불행인지, 아니면 자기 자신으로 인한 불행인지를 분별하는 일이다.
불행한 중에도 남아 있는 긍정적인 가치를 인식하여
현재의 행복으로 누릴 줄 아는 지혜로는 사람으로 살아가기 위해서
미래에 대한 근심도, 과거에 대한 미련도 무익하다.
타인을 자기 행동거지의 모범으로 삼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나와 타인의 처지, 상태, 사정이 같지 않으므로 충분히 숙고하고 날카롭게 통찰한 후
자신의 성격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빈 수레가 요란하다는 말처럼 허세는 언제나 경멸을 불러일으킨다.
허세는 자신이 아닌 모습으로 꾸리려고 하는 것이다.
자신의 실제 모습보다 더 낫게 돋보이려고 하는 것이니
자신이 스스로에게 내리는 유죄 선고와도 같다.
어떤 특질을 지닌 듯 어세를 부리고 뻐기는 것은 곧 그것을 지니고 있지 않다는
자기 고백과도 같다. 진짜 어떤 특질을 완벽하게 지닌 사람이라면 겉으로 드러내며
허세 부리려 하지 않고 완전히 담담한 태도를 취한다.
매우 행복해지려 애쓰지 않고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찾아
현재를 즐기는 법을 되뇌며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책이다.
#스트레스받는사람들을위한쇼펜하우어 #쇼펜하우어 #아르투어쇼펜하우어 #내면의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