딩동~ 나무꽃 도감 딩동~ 도감 시리즈
지경옥 지음 / 지성사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길가의 가로수, 산책길, 동네 공원, 아파트 단지 하루에도 몇 번씩 만나는

아낌없는 주는 고마운 나무에 대해 아이들에게 들려주기 위한 배경지식이 적절하고,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나무들만 엄선해놓아서 양도 적절해서

여러모로 부담없이 볼 수 있는 도감이다.

식물이 사는 곳, 형태, 습성, 크기, 쓰임새, 장소, 전해 내려오는 전설 등을 헤아려

식물 이름을 붙이기 때문에 이름을 알면 식물의 특성을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2월~5월 중순까지 꽃이 피는 '봄에 꽃이 피는 나무',

5월 하순~11월에 꽃이 피는 '여름, 가을에 꽃이 피는 나무'로 나누고

꽃 색에 따라 붉은색, 노란색, 흰색, 녹색 순서로 정리되어 있어

찾기가 손쉬워서 주변에 있는 나무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꾸며져있다.

처음부터 너무 두꺼운 도감부터 보면 너무 종류가 많아 부담스러울 수 있는데,

정말 아파트나 거리에서 흔하게 봤는데 이름을 잘 몰랐던 나무들이

한 권에 쏘옥 들어가 있으니 궁금했던 나무의 이름을 금방 찾을 수 있어 좋았다.

봄에 탐스럽게 피어나는 모란은 재산이 많고 지위고 높은 꽃이라는 뜻으로

부귀화라고도 불리는데, 풀꽃인 작약과 꽃 모양은 비슷하지만 잎 모양이 다르다.

흔히 착각하거나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을 콕 짚어서 알려주어서 이해가 쏙쏙 되었다.

꽃잎 안쪽과 바깥쪽 모두가 자주색이면 자목련,

꽃잎 안쪽이 흰색, 바깥쪽이 자주색이면 자주목련이다.

꽃잎 6장, 꽃받침이 3장이지만 모두 9장의 꽃잎처럼 보이며,

우리가 자주 만나는 나무는 자주목련이다.

살구나무가 살갗처럼 고운 열매가 달린다는 뜻의 '살고'에서 바뀐 이름이라고 하니

노랗게 익어갈 즈음의 살구 열매가 얼마나 고운지 직접 보고싶어졌다.

4월에 잎보다 먼저 붉은색 꽃이 다닥다닥 붙어 피어

마치 튀밥을 꿀 묻힌 나무막대기에 붙여 놓은 것 같은 박태기나무는

밥압을 뜻하는 사투리 밥티, 밥태기, 밥티기가 바뀐 이름이란다.

철쭉은 머뭇거린다는 뜻의 한자 '척촉'이 바뀐 이름인데,

꽃에 독이 있어 동물들이 철쭉을 먹으면 제대로 걷지 못해 머뭇거리기 때문이란다.

5~6월 길쭉한 종 모양의 연한 보라색 꽃들이 아래를 내려다보며 피고,

10~11월 끝이 뾰족한 둥근 결매가 있어 무슨 나무일까 궁금했는데

오동나무였다. 꽃 속이 빈 것이 마치 통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고,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나무로 악기나 장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5~6월에 나팔 모양의 붉은 색 꽃이 아래를 내려다보며 피는

붉은병꽃나무도 우리나라에만 있다고 한다. 꽃이 노란색으로 피었다가

붉은 색으로 바뀌면 병꽃나무이고, 꽃 색이 세 가지로 바뀌는 일본삼색병꽃나무도 있단다.

아파트 울타리로 가꾼 회양목이 자주 보이는데 꿀 향기가 나는 작은 노란색 꽃들이 모여서

피어난다고 하니, 다음에 진짜 꿀 향기가 나는지 맡아봐야겠다.

늘 마주치는 나무도 관심없이 그냥 지나쳐버리니 달걀 모양의 열매에 암술대가 뿔처럼 남아 있는지,

갈색으로 익은 열매가 벌어지며 검은색 씨앗이 나타나는지 전혀 몰랐다.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면 사랑할 수밖에 없다는 말이 떠올랐다.

절 주변의 꽃밭에 많이 심어져 있는 부처님 머리를 닮은 불두화는

백당나무의 장식 꽃만 따서 만든 꽃이라 암술과 수술이 없어 열매를 맺지 못한다고 한다.

불두화와 수국은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수국은 잎끝이 갈라지지 않은 깻잎 모양이고,

불두화는 3갈래로 갈라져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주황색 꽃이 5~15송이씩 모여 피어 주택집의 품격을 높여주는 능소화는

옛날에는 양반집에서만 심을 수 있어 양반꽃이라고도 했는데,

'나무에 기대어 하늘 높이 자라는 꽃'이라는 뜻이다.

꽃부리가 길고 꽃 지름이 작은 미국능소화보다

색도 더 은은한 우리나라 능소화가 개인적으로는 더 이뻐보였다.

#딩동~나무꽃도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