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의 질문 - 생각이 혼란스러울 때마다 꺼내 먹는 한입철학
시라토리 하루히코 지음, 전경아 옮김 / 토트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생각이 혼란스러울 때, 나의 고정관념을 타파하기 위해,

나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18개의 질문과 답이 있다.

철학 한 스푼으로 새로운 관점과 발견으로 혼란에서 벗어날 수 있는

힘 있는 사고를 가질 수 있게 하는 책이라 큰 도움이 된다.


억압적인 제도나 법, 규칙을 들이대면 많은 사람이 귀찮은 일을 피하려고

일단 부화뇌동하기 쉽다는 말에 가슴이 뜨끔거렸다.

법이나 규칙에 대해 수동적인 태도를 취하거나 법의 근거나 내용을

굳이 캐려 하지 않는 것이 권위를 가진 사람이 제안하는 일에는

전반적으로 의심하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는 말을 들으니

권위의 존재를 습관적으로 믿고 있는 건 아닌지 돌이켜보게 되었다.

권력과 권위에 얽매이면 결국 자신을 잃고 노동과 납세와 투표를

막연히 반복하는 도구에 지나지 않게 됨을 잊지 말아야겠다.

내면의 쿠데타라도 태도, 말, 행동으로 드러나 권력과 권위를

조금씩 무너뜨리는 힘이 된다.

노동 소외는 자신이 도구가 되는 것을 고통으로 여기고

도구가 되는 것에 내심 굴욕을 느끼는 것이다.

단지 돈을 벌기 위해 일한다면 많은 것이 단순한 도구가 되고 만다.

일한다는 것은 단순한 노역이 아니다

일의 중심에는 본인이 직접 무엇인가를 한다는 즐거움이 있어 자신을 살린다.

자신의 일을 자신의 생활과 관계있는 것으로 느끼면

일은 단순히 생계 수단 이상의 의미로, 일에서 소외될 수 없다.

신에게 구원받을지 아닌지를 일에서 성공할지 안 할지의 여부에 달려 있다는

직업 소명설로 인해 태만해서는 안 된다는 강박적인 마음으로 일해야 했던 것이

노동을 수단화하고 노동이 소외되고 동시에 사회가 분단되는 심리를 낳게 되었다는

점이 안타까웠다. 우리의 감정과 생각에 침투하여 조용히 조종하는 시스템,

종교나 사상, 주변 사람들의 가치관, 윤리관, 인간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게 되었다.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만 사랑할 수 있으며 사랑하지 않는 것은 완전히 알지 못한다."

앎은 사랑으로 통하고 사랑은 생명으로 통하니 파멸하지 않으려면

지금 이 순간 사랑하며 살아야 함에 대해서도 곱씹어 보게 되는 철학자의 질문이었다.

#철학자의질문 #철학 #한입철학 #철학한줄 #노동소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