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으로 들어가 과학으로 나오기 - 사고 습관을 길러주는 흥미로운 이야기들
리용러 지음, 정우석 옮김 / 하이픈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평범한 일상을 신나고 재미있게 만드는 법 중의 하나는 수학, 물리, 과학에 눈을 뜨면 된다.

과학적 사고 습관을 길러 지적 호기심을 해결할 수 있게 되면 세상이 달리 보이는 법이다.

오랫동안 물리 올림피아드 반 학생들을 지도하며, 일반인을 위한 과학 입문 동영상으로

마니아층을 확보한 중국 물리 교사가 43개의 흥미로운 주제들로

일상에서 배우는 수학과 물리의 세계로 초대하는 책이다.

수학, 물리 이야기에 역사, 인물, 문화 이렇게나 다채로운 이야기를 펼쳐나가다니

정말 수학, 물리에 관심이 없었구나,

이렇게나 흥미로운 과목인 줄 진작 알았다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기존의 지식을 타파하고 새로운 이론을 정착시키는 것이 쉽지 않은데 수학의 역사도 마찬가지였다.

피타고라스학파의 젊은 학자 히파소스가 "직각삼각형의 두 직각변이 모두 1이라고 할 때,

빗변의 길이는 어떻게 두 정수의 비로 나타낼 수 있죠?"라며 스승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피타고라스는 히파소스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하고,

자기가 이미 세운 수와 우주에 대한 신앙과 같은 이론을 무너뜨리고 싶지 않아

히파소스를 바다에 빠뜨려 죽였다니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배울 때 이런 역사를 알았더라면

무리수의 세계에 대해 좀 더 경건하게(?) 받아들이고 열심히 공부하지 않았을까 싶다.

원주율 파이 외우는 괴짜 친구들은 어느 학교에나 한 두명 쯤 있기에

그게 뭐 그리 재미있을까 싶었는데 시칠리아섬 시라쿠사를 공격한 로마 병사에게 피살되기 전까지

바닷가 백사장에 원을 그리며 연구에 열중하며

"아직 나를 죽이지 말게. 후손들에게 불완전한 기하 문제를 남길 수는 없네."

라고 했던 열정을 생각하면 정말 대단한 것 같다. 실제로 아르키메데스가 죽은 이후

천여 년 동안 원주율의 계산은 아무런 발전이 없었다고 하니

천재들이 인류사에 공헌한 바에 정말 감사해야겠다.

그 유명한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건너기 문제를 29세에 물어낸 수학천재 오일러는

두 눈을 실명한 상황에서도 암산으로 수많은 수학 문제를 해결했고,

평생 886권의 책과 논문을 썼다니 정말 경이로운 탐구 열정이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가 그가 죽은 뒤 그의 저서를 정리하는 데만

무려 47년이나 걸렸을 정도니 얼마나 열심히 수학 연구를 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오일러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수학의 왕이라 불렸던 독일의 수학자 가우스가

로바쳅스키의 논문을 보고 그가 쓴 책을 읽기 위해 러시아어를 배워야겠다고

결심할 정도였지만 학계의 불만과 사회의 반대를 불러일으킬까봐

공개적인 장소에서 비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해 지지하지 않았던 걸 보면

중대한 발견이 세상에 나오기 위해서는 용기있는 사람이 등장해야 하나보다.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창시자인 로바쳅스키의 이름을 기억해야겠다.

수학 공부를 제대로 해본 적이 없는지라 새롭게 알게 된 수학자들의 이야기가

무척 흥미로웠고, 수학이 이렇게나 우리 일상과 관계가 깊었다니 놀라워서

지적 호기심이 왕성한 아이들에게 권장해주고 싶은 책이었다.

#수학으로들어가과학으로나오기

#수학천재 #수학자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