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따뜻한 대화가 힘들까 - 감성부터 파고드는 8가지 말하기 도구
로베르트 버디 지음, 김현정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성지능적 소통 훈련을 통해 잘못된 방식으로 해왔던 소통을 멈추고,

내가 정말로 하려고 하는 말이 무엇인지 의식적으로 생각해 보게 만드는 책이었다.

신경가소성 덕분에 뇌는 끊임없이 독립적으로 하드웨어를 업데이트하는데,

문제는 긍정적인 해결책뿐만 아니라 부정적이고 고통스러운 경험도 함께 저장된다는 점이다.

상처를 주는 말을 주고받으면 뇌는 변하고 그 결과 정신건강에 막대한 피해를 입지만,

다행히도 뇌가 삶을 개선하고 행복을 추구하며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풍요롭게 하는 

해결책에 몰두하면 새롭고 건강한 관계를 추구하게 된다.

부정적인 신념에 굳이 자리를 내어주지 말고, 좋은 것들만 받아들이는 

주의력 훈련을 통해 생각에 방해되는 요소들을 내쫓는 연습을 통해 어떤 대화를 할지 

충분히 선택할 수 있다.


경솔하게 내뱉은 말로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고 관계를 위태롭게 만들고선, 

나는 원래 그런 사람이라고 변명하는 어리석은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된다.

상대방의 감정을 상하게 만드는데 이상한 자부심을 느끼며 

자신은 솔직하다고 포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 

나의 솔직함으로 상대방을 상처 입히게 하면 두 사람 모두에게 좋지 않다.

나는 원래 그런 사람이라는 변명 또한 통하지 않는다.

신경가소성이라는 능력 덕분에 이 세상에 '원래 그런' 사람은 없다.

인간은 끊임없이 변화할 수 있는 존재이다.

머리에서 가슴으로 가는 아주 긴~ 여정에 인내와 꾸준한 연습이 필요할 뿐이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 미소를 지으면 상대의 뇌보다 나의 뇌에서 행복 호르몬이 더 많이 분비된다.

내가 제공하는 정보를 상대가 받아들이도록 하고 싶다면 친절한 태도를 보이고

적절한 신호를 보내면 된다. 경쟁 사회에서 늑대 가죽을 걸치는 것이 

자신의 우월함을 보장한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양의 탈을 쓴 늑대가 아니라

본질적으로 친절하고 공감 능력이 있는 양이다. 협력을 향해 첫발을 내딛는 사람들은

일면 큰 위험을 감수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싸우고 힘을 빼는 것보다

신뢰를 형성하고 사회적 유대를 강화하는 것이 더 낫다.


자신의 감정 자체를 바꿀 수는 없어도 감정에 대한 자신의 반응 패턴은 변화시킬 수 있다.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상대를 바꾸려고 해서는 안 된다. 

그냥 상대에 대한 내 태도에 집중하는 것이 훨씬 현명하다.

우리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 살고 있다.

어제 그랬다고 해서 내일도 그럴 필요는 전혀 없다.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자신의 가정과 판단 기준을 되돌아보고

교착 상태에 빠진 소통을 다시 시작할 수 있게 따뜻한 대화법을 연습할 수 있어 좋았다.


#따뜻한대화법   #감성지능  #감성지능적소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