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어스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126/pimg_7968681544507696.jpg)
날씨가 급 쌀쌀해지면서 곧 2024년도 저물어가겠구나,
완연한 중년으로 접어들겠구나는 생각에 괜스리 서글퍼졌다.
기운을 내고 마음만은 청년으로 돌아가기 위한
나만의 비법 중 하나가 사춘기 때 열렬히 사랑했던
헤르만 헤세와 윤동주를 만나는 것이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 꼭 읽어야 할 이 시애의 고전인
윤동주 시집을 청소년기에 읽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스물아홉 해방되던 해에 가버려 더 가슴 저미게
우리에게 영원한 청년으로 각인된 시인의
출중한 외모에 반해 시집을 집었다가
그의 시를 가슴에 새기며 얼마나 먹먹했었는지,
윤동주 시인의 유고시집을 읽으면 꿈 많았던 그 시절로 돌아가는 것 같다.
말주변도 사귐성도 없었지만 윤동주의 방에는 언제나 친구들이 가득 차 있었고,
친구들이 찾으면 빙그레 웃으며 반가이 마주 앉아주었다는
수줍은 청년을 통해 내향인의 롤모델을 삼았었는데,
주변을 둘러보니 시인 발끝에도 못 미치는 것 같다.
윤동주 시인이 존경했던 정지용 시인이 윤동주 시인을 기리며 쓴 서문을
보니 여전히 가슴이 먹먹하였다.
무시무시한 고독에서 죽었구나! 29세가 되도록 시도 발표하여 본 적도 없이!
극강의 I 성향 사람으로서 수줍었던 내향적이지만,
그 누구보다 굳건했던 한 청년의 외침에 공감이 되었다.
조용히 열흘이고 한 달이고 두 달이고 곰곰이 생각하여서 한 편의 시를
탄생시키기까지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았던,
지나치게 겸허 온순했지만 시만은 절대 양보하지 않았던
그 굳건한 심지를 본받고 싶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126/pimg_7968681544507697.jpg)
서시와 길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겠냐만,
제대로 살아가고 있는가 고민되는 이 시점에서
길은 더 마음 속 깊이 들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