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역 논어 - 2500년 고전에서 찾는 인생의 진리
야스토미 아유미 지음, 고운기 옮김 / 레디투다이브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을 오랫동안 연구한 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 교수님께서

2500년 고전 논어를 원문 그대로가 아니라 간추리고 해석을 붙여

현대인들이 읽기 편하고 이해하기 쉽게 다시 엮은 초역 논어라

가독성이 아주 좋았다.

세 살에 아버지를 여의고 열일곱 살에 어머니마저 잃고

고아가 된 공자가 소년 시절 거칠고 천한 일을 하면서

곤궁한 생활을 했기에 여러 가지 것에 능한 사람이 되었다고 말하고

독학으로 학문을 깨우쳤기에 인간 본성에 대해 그 누구보다

명쾌하고 진정성 있게 알려주기에 <논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마음의 울림을 느끼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하지만, 그 실수는 그 사람의 성격을 반영하기에

그 사람의 허물을 잘 보면 어떤 성격을 가진 인간인지 밝혀진다는 대목에서

뜨끔하였다. 나는 어떤 실수를 저지르고 있는지 내 모습을 들여다보게 만들었다.

현자를 보면 나도 저렇게 되고 싶다는 생각은 누구나 하는데,

현명하지 못한 이를 보면 대부분 비판하는 경향이 있다.

현명하지 못한 이를 보고 나에게도 저런 모습이 있다고 반성하라는

공자님의 말씀을 듣고 겨 묻은 개를 나무라는 똥 묻은 개가 아니었나 반성하게 되었다.

세 사람이 함께 길을 걸으면 그중에 반드시 스승이 될 만한 사람이 있다고 했다.

나보다 나은 사람의 좋은 점을 골라 그것을 따르고,

못한 사람의 좋지 않은 점을 골라 나를 바로잡을 수 있게

나 자신의 모습을 돌이켜보게 되었다.

공자가 가르친 네 가지와 손에서 놓아야 할 네 가지 일을 곱씹어 보게 되었다.

'문행충신'

문(文) 아는 것과 생각하는 것을 글과 말로 표현하는 방식,

행(行) 실천,

충(忠) 말과 행동에 늘 진심을 담을 것,

신(信) 말과 행동이 일치해 있을 것.

'의필고아'

의(意)란 사전에 이러쿵저러쿵 하자는 의도이다,

필(必)이란 반드시 이렇게 하고 싶다는 고집이다,

고(固)란 단단하게 굳어버린 생각을 바꾸지 않는 완고함과 고루함이다,

아(我)란 내가 내가라는 자기중심주의이다.

당연한 것 같으면서도 몸에 익히기 쉽지 않은 인생의 진리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게 되는 책이다.

'알고 있다'보다는 '좋아한다'가 더 높은 경지이고,

'좋아한다'보다는 '즐긴다'가 더 높은 경지라 했다.

살면서 좋지 않은 일을 경험하지 않는다면 진정으로 성장할 수 없는 법,

날씨가 추워져야 비로소 소나무 잣나무가

상록수라는 사실이 드러나듯 위기에 처해야 그 사람의 진가가 드러난다.

인생을 즐기는 자가 되어 범사에 감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초역논어 #공자



"책과 콩나무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