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스페이스 실록 - 너의 뇌에 별을 넣어줄게 파랑새 영어덜트 4
곽재식 지음, 김듀오 그림 / 파랑새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괴물 작가 곽재식 교수가 들려주는 K-천문학 이야기, 낯설고 흥미로웠다. 

그리스 로마 신화의 별자리보다도 더 몰랐던 한국의 전설과 우주에 관한 

옛이야기를 지금이라도 알게 되어 다행이었다.

이야기 덕후 박사님답게 과학과 우주에 대한 연구가 다른 나라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한국인들이 원래부터 하던 일이고 지금도 열심히 하고 있음을

여러 신화와 역사 기록들을 통해 풀이해 주셔서 유익하고 재미있었다.


갈릴레이에서 별로 멀지 않은 시기인 조선 숙종 시대에

김석문이 지구가 둥글다는 삼대환공부설을 주장했다.

김석문은 지구는 둥글고, 둥근 지구가 우주를 둥글게 돌고 있을 뿐이니

지구나 우주에 중심은 없고 중국이나 다른 어떤 나라가 

영원히 세상의 중심일 이유가 없다고 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숙종 시대의 조선은 세계 각국과 활발히 교류하지 않아

김석문의 학설은 널리 퍼지지 못했다. 그 결과 

삼대환공부설 대신 지동설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니 참 안타까운 일이다.


직성이 풀린다는 관용구를 종종 사용하면서도

직성이 해, 달, 수성과 같은 재수 없는 직성에서 비롯된 것인지 몰랐다.

조선에는 정월 대보름에 다섯 개의 행성와 해, 달 등을 늘어놓고

자신의 한 해 운을 정해주는 직성을 따지는 풍습이 있었다니 신기했다.


이성계가 아침 운동을 빼먹지 않는 성실한 장군이라

이른 아침 잠자리에서 일어나 금성을 자주 보다 보니 금성을 좋아했을 거라는

이야기도 일리가 있었다. 밤마다 늦게까지 놀기를 즐기는 사람이었다면

한밤중에 뜨는 목성이나 토성 같은 행성이 눈에 잘 보였을 텐데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 자신과의 약속을 잘 지키는 아침형 인간이어서

금성을 자신의 수호신으로 여기게 되었다니 그럴싸했다.

달을 보며 소원을 비는 보통 사람들과 달리,

이른 새벽 금성을 보며 비는 것만 봐도 왕이 될 사람은 역시 다르구나 싶었다.


영조가 감히 함부로 볼 수 없던 태양을 엿보고 따져보는 장치라며

규일영이라는 태양 관찰 장치를 부수어버렸다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은

정말 안타까운 대목이었다. 태양을 관찰한 기록조차 삭제하라고 지시할 정도로

신하들에게 감히 높은 대상을 함부로 쳐다보고 따질 생각을 하지 말라고

경고하기 위해 과학 관찰 도구조차 없애는 시절에 과학은 발전할 수 없었을 것이다.


정철의 <관동별곡>에 바다만큼 넘실거리는 술을 북두칠성 국자로 퍼서

온 세상 사람들에게 골고루 나눠준 뒤 세상을 다 취하게 만든 다음,

다시 만나 또 한 잔 더 하자는 호쾌한 상상력이 드러난 글귀가 있다.

북두칠성 국자를 대충 정사각형 모양이라고 보고 

거리를 200조 킬로미터라 했을 때, 퍼담을 수 있는 술의 양을 계산하면

8 뒤에 0이 57개 붙는 어마하게 큰 용량이다. 

지구 바닷물 전체보다 훨씬 많은 양으로, 은하수의 모든 별마다 100억 명 정도의

외계인이 사는 행성이 하나씩 있다고 치면, 은하수의 모든 외계인에게

매일 3000cc 술을 꼬박꼬박 나눠준다 해도 몇천억 년, 몇 조 년에 걸쳐 반복해도

줄어든 티조차 나지 않을 정도로 어마어마한 양이라니 인간의 상상력보다 

훨씬 더 놀라운 양이다.


초신성은 우리 생활에 주는 영향은 생각해 보지 않았는데, 

초신성이 만들어낸 우주방사선 때문에 소프트 에러가 발생하면

컴퓨터의 세계에서 굉장히 치명적인 결과를 낳는다는 것도 신기했다.

실제로 2008년 호주의 비행기가 아무 이유 없이 갑자기 빠르게

수십 미터를 내려가서 승객 여러 명이 다쳤는데,

소프트 에러로 인한 비행기 컴퓨터 고장일 가능성이 있다니 무서웠다.

그래서 반도체 회사에서 우주방사선이 일으키는 소프트 에러를

극복할 수 있는 기능을 열심히 개발해서 설치하고 있다니

과학 기술의 힘은 곳곳에서 생명을 구하고 큰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인을 위한,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의 스페이스 실록.

부끄럽지만 한국의 기록, 전설, 과학과 우주에 대한 연구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어서 정말 참신하게 다가오고 유익한 책이었다.




#슈퍼스페이스실록  #곽재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