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신발, 큰 발걸음 - 차별과 혐오에 용기로 맞선 세 아이 이야기
바운다 마이크스 넬슨 지음, 알렉스 보스틱 그림, 최정희 옮김 / 아름다운사람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60년 11월 14일은

용감함 개척자 레오나 테이트, 테시 프리보스트, 게일 에티엔

세 아이가 연방 보안관의 보호 속에서 백인 학생들만 다니던

맥도노우19 공립학교에 작은 신발로 큰 발걸음을 내디딘 날이다.

발목 양말을 단정하게 신은 작은 여자아이 세 명이 학교에 가는 것만으로

뉴올리언스와 루이지애나주에 역사를 만들었다.


미국 대법원이 피부색으로 학생을 분리하는 것은 잘못된 제도라는 

판결을 내리고 모든 학교는 흑인과 백인 아이들을 같은 교실에 배정하여

모두 동등한 교육을 누려야 한다고 했지만, 현실은 녹록하지 않았다.

흑인 부모들은 백인 아이들만 다니던 학교에 전학 신청을 했지만,

학교 이사회 임원들은 대부분의 아이들이 통과하기 힘든 시험을

여러 차례 봐야 하는 입학 제도를 만들어 통합 제도에 반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오나, 테시, 게일은 그 까다로운 시험을 우수한 성적으로

통과했기에 결국엔 법에 따를 수밖에 없었다.


어렵사리 맥도노우19 공립학교에 발을 디뎠으나,

아이들이 자리를 잡자마자 백인 아이들이 자리를 뜨기 시작하고

학교에는 세 아이밖에 남지 않았다.

흑인과 백인 아이들이 함께 교육받아서는 안 된다고 믿는

난폭한 사람들의 야유를 받으며 매일매일 등교하는 

세 아이들가 정말 대견스러웠다.

다행히 연방 보안관들이 아이들을 안전하게 보살피기 위해

목숨을 바칠 각오까지 했고, 메이어스 선생님은 친절하고 배려심이 깊었다.


살해 협박에 죽은 새가 들어 있는 소포 배달도 되었지만,

아이들의 집 대신 '전미흑인지위향상협회'로 배달된 편지 중

혐오로 가득한 편지를 제외하고 아이들을 응원하는 내용의 편지만

전해져서 그나마 다행이었다. 세계 곳곳에서 여러 언어로 쓰인 

지지 카드와 편지를 보며 아이들은 더 용기를 낼 수 있었다.

세 아이가 2학년이 됐을 무렵에도 셋밖에 없었지만, 

크리스마스 휴일이 지난 후 전학생이 25명이나 왔고

백인 학생도 2명이 있었다. 드디어 시위자들도 거의 떠나고,

창문을 덮던 가림막도 사라지고 세 아이들은 친자매만큼의 우정을 쌓으며

다른 친구들과도 학교생활을 해나갈 수 있었다.


모든 아이가 당연히 받아야 할 교육을 

피부색 때문에 받지 못했던 아이들이

용기와 존엄성을 간직하고 씩씩하게 내디딘 아이들이

3학년이 될 무렵 토머스 J. 셈즈 초등학교로 보내져서

혐오와 차별을 받은 것은 너무 가슴 아팠다.

그들이 공포의 학교, 악마의 땅으로 기억하는 학교는

혐오와 폭력을 견뎌야 하는 힘든 곳이었다.

흑인 아이들이 지나다닐 때마다 코를 부여잡고 냄새가 난다고

말하거나, 인종 차별적인 별명을 부르고 백인 아이들에게

흑인 아이들에게 불친절하게 하고 때려버려라고 한 

선생님들이 존재했다니 정말 부끄럽고 충격이었다.

궁지에 몰려 공격당할까 봐 화장실 가는 것도 두려웠지만,

최선을 다해 아이들은 열심히 공부하고, 

부모님들은 아이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을 때마다

학교 이사회에 편지를 쓰고 고소장을 제출했다.

물론 학교에서 실제로 바뀌는 건 없었지만 

모두의 노력 덕분에 맥도노우 삼총사는 무사히 살아남았고 

미국이 변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날마다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녹초가 되었지만,

누군가는 해야 세상이 변화기에 용기를 낸

맥도노우 삼총사와 그들의 가족에게 박수를 보낸다.





#작은신발큰발걸음  #맥도노우삼총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