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교에서 만납시다 - 짱구쌤의 세상에 없던 학교 이야기
이장규 지음 / 르네상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92년 임용되어 28년간 학급문집 <어깨동무>를 펴내며 교실에서 지내다,

2020년 전남혁신학교 용방초 공모 교장이 된 이장규 선생님을

제자들은 '짱구쌤'이라 부른다.

졸업식 날 우리 20년 뒤 1월 1일 학교 운동장에서 만나자는 약속을 잊지 않고

다시 모인 동창들과 담임샘이라는 영화 같은 감동 스토리로

50만 명을 울린 주인공으로도 유명하신 분이다.

일주일에 한두 번씩 손편지를 쓰고 답장이 오면 신이 나는

교장 선생님이라니 정말 세상에 없던 교장 선생님은 

역시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게 아니다.

서이초 선생님을 비롯하여 공교육 붕괴 관련 서글픈 소식만 난무하던 중

오래간만에 따습고 순수한 초등학생들과 그 속에서 유쾌하고 자유로운 선생님의 

이야기를 듣게 되어 반갑고 다행스러웠다.


용방 초등학교 공모 교장으로 부임한 2020년부터 4년 동안 쓴 글과

직접 그린 그림으로 이루어진 책의 대부분은 28년간 펴냈던 학급신문

<어깨동무>를 교장이 되면서 못 만들게 되면서 대안으로 달마다 만든

<짱구쌤 용방살이>에 실었던 글과 그림이라고 한다.

폐교 직전의 학교를 전남 혁신 학교로 우뚝 서게 하기 위해

열정을 가진 선생님들과 학교를 굳게 신뢰하는 학부모님들의 노력이

얼마나 있었을까 생각하니 가슴이 뭉클해졌다.

초등학생답게, 놀며 배우고, 배우면서 노는 학교가 

대한민국에 몇 군데나 있을까라는 생각에 답답하기도 했지만,

용방 초등학교에서 희망을 쏘아 올린 것처럼 선한 영향력이 

전국 곳곳에 퍼졌으면 좋겠다.


전라도 말도 '온 힘을 다하여'라는 뜻의 '뽈깡' 교육이 필요함을

느낄 수 있었다. 젖은 수건을 물기가 다 빠지도록 뽈깡 쥐어짜듯,

힘을 나누지 않고 모아서 뽈깡, 온 힘을 다해야 제대로 가르칠 수 있다며

우리도 그거 있어 하는 백화점식 교육과정에서 벗어나서

결의를 실행해야만 지속적인 가르침이 가능하다.

짱구쌤 명함 뒷면에 적혀 있는 야누슈 코르착의

"어린이는 내일의 희망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들은 지금, 여기 이미 존재합니다."

라는 말처럼 지금 여기 내 앞에 있는 아이들에게 집중하는

괜찮은 어른이 되어야겠다고 짱구쌤을 본받고 싶어지는 책이었다.


#우리학교에서만납시다  #짱구쌤  #전남혁신학교  #뽈깡교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