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는 뇌에 들어온 정보를 제거할지, 그냥 둘지를 결정하는데 약 한 달 동안 판단한다.
그래서 한 달 이상 지나 복습하면 해마가 처음 배울 때와 똑같이 정보를 받아들이지만,
한 달 이내에 몇 번씩 복습하면 이 정보는 중요한 정보라고 인식하게 된다.
이런 해마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한 다음 날 1회차 복습, 복습 1회차 1주일 뒤에 2회차 복습,
그 2주일 뒤에 3회차 복습, 그 1개월 뒤에 4회차 복습을 반복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근육을 키우기 위해 매일 아령을 들 필요가 없듯이 총 4회의 복습을 조금씩 간격을 넓혀
2달 동안 실천하는 것이 가장 좋단다.
정확하게 기억하고 영원히 잊어버리지 않는 것이 우수한 뇌라는 것은 우리의 망상에 불과하다.
뇌 기억의 본질은 애매함에 있다. 환경이 시시때때로 변하기 때문에
동물들은 살아남으려면 과거의 기억을 근거로, 매 상황에 임기응변으로
여러 가지 판단을 내리는데 완전히 똑같은 상황은 반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억이 극도로 정확하면 계속 변화하는 환경에서는 불필요하고 무의미한 지식으로
전락한다. 기억의 엄밀함보다 애매하고 유연한 것이 중요한 이유이다.
기억은 유연해야 몇 번이고 실패를 거듭해도 그 경험을 토대로 성공할 수 있는 것이다.
비슷한 것을 기억하기 위해 비슷하지 않은 것을 삭제해야 하는,
정말 많은 노력이 필요한 소거법을 죄가 사용한다는 것을 알면
실패에 낙담하지 않을 수 있다.
실패는 결코 부끄러운 일도 아니고, 두려워할 필요도 없다.
실패하고 후회하는 것이 아니라 실패하고 반성하는 마음가짐이 중요한 이유이다.
노력과 성적은 비례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등비급수적 관계에 있다.
당장 눈앞에 보이지는 않지만 사용하면 사용한 만큼 착실히 기초 실력이 쌓이고,
계속적인 노력만이 열매를 맺게 한다.
최신 뇌과학에서도 효율적인 공부 방법은 결국 누구나 인지하고 있는 방법들이었다.
뇌의 특징을 인지하여 반복적인 복습과 시각만이 아닌 청각과 다른 감각을 이용하여
전체부터 부분까지 적극적으로 반복하면 뇌는 배신하지 않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