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가 지키는 세계 - 땅을 청소하고, 꽃을 피우며, 생태계를 책임지는 경이로운 곤충 이야기
비키 허드 지음, 신유희 옮김 / 미래의창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 곳곳에서 벌집 붕괴 현상이 발견되고 있다.

생물다양성이 급감함에 둔감하던 인류가 벌이 멸종위기종이 되자

그 심각성을 깨닫고 대책 마련을 하는 걸 보면서

지극히 인간중심적인 대응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되어 씁쓸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불행 중 다행이라 생각되었다. 그래서 곤충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생각했는데,

리버깅(rebugging)에 대한 책이라 기대가 되었다.

리버깅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벌레의 개체 수와 다양성을 다시 회복함으로써

자연을 야생상태로 되돌릴 수 있고(리와일딩),

리버깅은 단순히 어떤 장소를 대상으로 하는 활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생활 전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메시지였다.

리버깅은 누구나, 어디서든 참여할 수 있다. 자연이 스스로 회복할 수 있도록 내버려 두면 된다.

벌레 먹은 채소, 흠 있는 과일을 대하는 태도를 바꾸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소비자들이 동일한 길이, 색깔, 형태를 가진 완벽한 상품을 기대하면

농부들은 농약을 뿌리고 단일 품종을 지배할 수 밖에 없다.

1970년 이후로 전체 곤충의 개체 수가 매년 10%씩 감소되고 있는 이 추세라면

2050년에는 전체 곤충의 80%가 사라질 정도로 심각하다.

생물다양성 감소가 심각한 수준인 줄은 알고 있었으나,

소규모 자급적 농업 대신 기업적 농업이 산업을 장악하고 산림을 무자비하게 파괴하면서

얼마나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니 정말 참담하였다.



인공조명은 벌레들의 활동과 움직임 조절하는 빛-어둠 생체리듬을 교란하여

먹이를 구하고 번식하고 이동을 제한한다.

벌레들에 대한 아이들의 호기심은 대개 시간이 지나면서 두려움과 혐오로 변해가는데,

그 이유 중 하나가 벌레를 대하는 어른들의 태도때문이다.

모든 사람들이 벌레를 귀엽게 생각할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벌레의 중요성을 알고,

나랑 너무나 다르게 생긴 모습 때문에 혐오스러워하지 않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저자의 가족들이 캐나다의 차가운 호수에서 수영하다가

어린 아들의 발에 붙은 거머리를 보고 화들짤 놀라면서 보자마자 떼어내는 것이 아니라

사진을 찍어 멋진 추억을 남기는 장면은 정말 인상적이었다.

벌레에 대한 부정적 인상(p.44)

vs

벌레에 대한 긍정적 인상 (p.45)

말벌은 쏜다.

말벌은 해충을 통제하고, 식물의 수분을 매개한다.

벌은 더 많이 쏜다.

벌은 작물의 수분을 매개하고, 꿀을 만든다.

거미는 문다.

거미는 파리를 잡는다.

파리는 질병을 퍼뜨린다.

파리는 오물을 먹어 치우고, 작물의 수분을 매개한다.

민달팽이는 꽃을 먹어 치운다.

민달팽이는 흙을 만든다.

개미는 문다.

개미는 토양의 공기를 순환시켜 주고, 찌꺼기 등을 치운다.

메뚜기는 작물을 망가뜨린다.

메뚜기는 중요한 단백질 자원이며, 세계의 약 20억 인구가 곤충을 먹는다.

집게벌레는 사람의 귓속으로 들어간다.

집게벌레는 과일의 수분을 매개한다.

최근 스탠퍼드대학교 연구원들이 사막개미가 먹을 때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인터넷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조절하는 데에 쓰이는 전송 프로토콜과 흡사함을 발견했단다.

아무리 뒤죽박죽된 어수선한 환경에 있더라도 기억력, 의사소통, 물리적 도구를 이용해

길을 찾는 시스템을 인간의 도구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할 예정이라고 하니 놀라웠다.

5mm도 안 되는 돈거미가 필요한 높이에 도달하기 위해

근육의 힘이나 거미줄에 가해지는 공기저항에만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정전기력을 일으켜 높이뛰기를 한다니 정말 신기했다.

대기 중의 전기를 활용한 벌루닝으로 서식지 내 이동은 물론이고

대륙을 가로지를 만큼 멀리 가기도 하다니 정말 대단하다.



1초에 85번 날개를 움직이는 박각시나방을 처음 발견했을 때의 설렘을

맛보고 싶다면, 농약이나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정원을 자연 그대로 내버려 두면 둔다.

정원 그 자체로 야생동물을 위한 훌륭한쉼터가 되어 다양한 벌레들이 모여들게 된다.

그리고 소비자가 아니라 시민 소비자로서 행동해야 현재의 식품 시장을 지배하는 법은 물론,

벌레 친화적인 식품 생산을 촉진하는 장려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니계수가 증가하면 감소하는 종 또는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의 수도 유의미하게 증가한다.

벌레를 보호하는 것이 결국은 우리 자신을 돕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겠다.



#벌레가지키는세계 #비키허드 #리버깅 #미래의창 #북유럽

"북유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