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한 과학자의 위대한 꿈
이종호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대성 이론을 도저히 이해하지 못하는 과알못이라도 #알베르트아인슈타인

이라는 천재 과학자의 위대한 이론이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아인슈타인이 물리학에서 어떤 업적을 남겼기에 그렇게 칭송받는지 궁금하거나,

물리학에 관심이 있다면 강력 추천한다.

개인적으로는 아인슈타인의 명언들을 너무 즐겨쓰는 편이라

아인슈타인 어록이 더 많이 수록되었으면 좋아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과학적 업적이 궁금한 사람들에게는 잘 정리되어 있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

상대성 이론은 인간이 품고 있던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수정해야 하는 대변혁으로

엄청난 파장을 야기했지만 검증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라

1908년부터 계속 노벨 물리학상 후보자로 추천되었으나1921년 광전 효과로 수상하게 된다.

아인슈타인이 140세까지 살았다면 적어도 노벨상 6개는 받았을 것이라 추정하지만

그의 업적들이 첫째 부인이었던 천재 과학자 밀레바 마리치의 공이라는 주장도 있다.

1905년 발표한 상대성 이론, 광전 효과, 브라운 운동의 진짜 주인공이

그의 아내 밀레바라는 주장은 수학에 취약했던 아인슈타인의 친구인 그로스만과 밀레바가

함께 복잡한 수학 문제를 풀어줬고 그 또한 우리의 이론, 우리의 연구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노벨상을 받으면 상금 전액을 밀레바에게 주기로 약속한 것이

밀레바의 공헌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고 추정하지만, 아인슈타인이 약속을 지키지 않고

절반만 지급했다니 실망스러운 대목이었다.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수학과 과학에 탁월한 재능을 보였던 똑똑한 여성이었지만

시대적 편견은 넘어서기가 힘들었나보다. 아인슈타인과 결혼 후 과학도로서의 꿈을 접고

남편의 연구를 도우며 남편이 유명해지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다는 것은 참 안타깝다.

동료 과학자로서 동등하게 연구했다면 아인슈타인의 사생활과 창의성에 따라다니는

루머 또한 없었을텐데 나를 잃는 사랑은 더 이상 사랑으로 남을 수 없는 것 같다.

이런 루머 자체가 모욕적이라 주장하는 이들도 많지만, 어쨌든 밀레바의 업적이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었던 간에 잊혀져갔다는 것은 굉장히 안타까운 일이라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인슈타인의 명성과 권위는 드높아서

실라르드가 독일에서 핵폭탄이 먼저 개발되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편지를 쓰고, 아인슈타인은 서명만 했을 뿐인 편지가

핵무기 개발의 방아쇠 역할을 하게 된다. 자신의 생애에서 저지른 가장 큰 실수가

그 편지에 서명한 것이라고 했는데, 여러 가지 오해와 행운이 겹쳐

미국에서 원자폭판이 만들어지게 된 뒷 이야기들을 들어보면

어떤 선택을 하게 되느냐가 신념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인슈타인의 물리학적 업적부터 반전 운동을 지지하며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 있어 좋았다.

 

"책과 콩나무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