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사는 게 힘들까? - 사회에 적응하기 힘든 사람들의 관계 심리학
오카다 다카시 지음, 김해용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왜사는게힘들까 역시 기대되었다.

이 책의 원제는 '발달장애의 그레이존'으로 딱히 장애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생활이 힘든 사람들, 나이가 들수록 더 힘들어지는 사람들의 속마음과

인간관계를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고 있어 #자기계발

에 유익하였다. 나이가 들면 베테랑이 되어 일도 인간 관계도

더 원활할 줄 알았는데 그렇지 못해 고민이 될 때

위안과 해결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이다.

그레이존에 해당하는 건 장애에 해당되지 않으니 다행이긴 하지만,

특별한 배려나 지원도 받지 못한 상태에서

건강한 사람들과 대등하게 경쟁해야 하는 위치에 놓이기도 쉽기 때문에

장애로 판정받은 사람들보다 더 심각하게 힘들다.

단순히 장애가 아닌 상태가 아니라 마음의 상처가 깊고 애착 장애 같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좀 더 깊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레이존이라 그냥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방치하면

약점이 점점 더취약해지다 어느 시점부터는 심각한 문제로 발전되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자신이 잘 못하는 것은 하기 싫어하게 되고 그러다 보니 더욱 안 하게 되어

결국은 자신감을 잃거나 말도 안 되는 오해나 괴롭힘을 당하기도 하고

불안과 마음의 상처를 받게 된다는 말이 특히나 공감되었다.

사회적 스킬에 문제가 있을 경우 상대와 교감하는 능력을 파악해보는 것이

도움이 되는데 대화의 양이 아닌 질을 따져봐야 한다.

적극적이고 사교적으로 보여도 상호적, 정서적인 커뮤니케이션은 부족할 수 있다.

기분 좋은 말을 캐치볼하듯 주고받을 수 있는지 스스로 점검해보니

훈련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적당한 거리감을 유지하는 사회적 스킬을

훈련한다면 충분히 개선될 수 있다니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다.

<울어버린 빨간 도깨비>의 빨간 도깨비나 <미녀와 야수>의 야수는

공포회피형 애착 스타일으로, 자신이 어차피 미움받고 거절당할 거라는

두려움 때문에 대인관계에 소극적이고 도전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새로운 일이나 환경은 새로운 인간관계를 동반하고,

자신도 드러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새로운 도전을 피하다 보면

단조로운 생활을 반복할 수 밖에 없고, 일적인 능력이나 사회성도 퇴화하게 된다.

점점 단조롭고 좁아지는 인간 관계를 경계하고 사소하더라도

새로운 도전을 피하지 말아야겠다고 다짐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