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자신에게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 흔들림 없이 나답게 나만의 인생을 사는 법
츠지 슈이치 지음, 한세희 옮김 / 밀리언서재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제자의 의예과 합격을 축하하며 사랑과 웃음으로 치유하는 의사 <패치 아담스>를 소개했었는데

저자가 이 영화를 통해 인생이 바뀌었다고 하니 반가웠다. 저자는 영화의 실제 주인공인 패치 아담스의

강연을 직접 들었는데 "모든 가치를 만드는 열쇠는 자기 마음에 있다. 행복은 남이 정한 외부의 조건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행복하다고 느끼면 되는 것이다."는 말이 상당히 인상적이었다고 한다.

나라는 존재에 몰입하는 것이 진정한 행복이라는 것을 어렴풋이 깨닫고 내과 의사를 그만두고

스포츠 닥터가 된 저자는 자기긍정감 지상주의에 빠져 괴로워하는 사람들에게 자기존재감의 소중함을

전달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지금보다 좋은 사람이 되려고 열심히 노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모든 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자기긍정감 지상주의는 성공이 선이고 긍정적인 생각이 옳은 것이라

맹신하게 되면 괴로움이 생긴다. 자기긍정감에 대한 집착이 오히려 부조리한 세상을 만들고 열등감을 낳게

되는 것이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 저자는 자기긍정감의 세계에서 애쓰기보다 자기존재감을 생각하는 삶으로

바꾸면 자기긍정감에 집착하지 않고 마운팅하지 않아도 된다며 자기존재감을 강조하고 있다.

자기존재감은 없는 것을 찾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 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는 것을 발견하는 것이다.

나에게 생명이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면 타인과 비교하지 않아도 자기존재감을 가질 수 있다.

나를 사랑하는 것(I Love Me)~ 나 자신을 믿는 것(believe in myself)~이 중요하다~!!!

 

 

모든 인간들은 사랑의 능력과 진화의 능력을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었는데

어른이 되면서 인지적으로 사회적 욕구와 존경의 욕구를 추구하다 보니 인지적인 뇌가 폭주하여

스트레스가 생겨난다는 말에 공감이 되었다. 누구에게나 있는 2가지 선천적인 능력을 발견하고

자기존재감을 갈고닦으면 삶의 질이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 인지적인 사고를 기르는 교육을 해왔기에

나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비인지적인 사고를 등한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자기존재감을 기르는 연습을 해야한다.

 

다가올 뷰카(VUCA, Volatility변동성, Uncertainty불확실성, Complexity복잡성, Ambiguity모호성) 시대에는

지금 내 모습도 충분히 괜찮다는 자기존재감이 있어야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단단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알려주며 나에게 좋아요를 누르게 만드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