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사람을 위한 MBTI - 탁월한 성과를 만드는 MBTI 직장 사용 설명서
백종화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MBTI가 등장하기 전에는 ABO식 혈액형으로 성격을 판단하더니

이제는 온통 MBTI로 사람들을 분석하려 들다니, 이런 비과학적 데이터에

사람들이 왜 그렇게 혹하는지 모르겠다며 부정적이었다.

그래도 혈액형별 성격 유형 4가지에서 16가지로 세분화되었다고 한들,

이 세상 사람들 성격이 어떻게 16가지 뿐이겠는가, 말도 안 된다며 무시했는데

MZ 세대들은 자기 소개도 MBTI로 시작한다니 시대에 흐름을 받아들여야 하는 것인가

고민 중이다 만난 일잘러를 위한 MBTI 특급 코칭은 흥미로웠다.

 

저자는 MBTI를 절대 맹신해서는 안 되며 MBTI로 그 사람을 하나의 유형으로 

단정하고 판단해서는 안 되며, 이 세상 사람들을 16가지 유형으로 표현하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며 같은 유형의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강조하고 있었다.

실제로 개인이 처한 외부 환경이나 현재의 기분에 따라 MBTI 결과는

다양한 패턴으로 나온다. MBTI는 성격을 진단하거나 능력을 평가하는 진단 도구가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대신 내가 선호하는 행동과 비선호하는 행동을 분석하여

나의 특성을 이해하고 동료들의 나와 비슷하거나 다른 부분을 이해해서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보다 더 나은 방식으로 일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재능이 100인데 재능을 50 사용하는 사람과

재능은 70이지만 60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 후자가 당연히 탁월한 성과를 낸다.

 

MBTI는 내 선택을 도와주는 도구이다. 

에너지를 쓰는 방향에 따라 외향형(E)과 내향형(I), 

정보를 얻는 방법에 따라 감각형(S)과 직관형(N), 

의사결정의 기준에 따라 사고형(T)와 감정형(F),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판단형(J)와 인식형(P)으로 구분해보면서

강점을 취하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고 약점을 강화하면서 

기존과는 다른 행동으로 시도해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지 정답이 없다. 

서로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을 이해하고 차이를 구분하며

서로의 다름을 인식하여 사람들간의 행동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일 뿐, 

모든 것은 나의 결정에 의해 변화한다. 

 

MBTI를 적용해 각자 자기만의 관점이 있음을 인지하고 추론의 사다리로 들여다보니 

왜 그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는지가 파악되어 도움이 많이 되었다.

자신의 유형에 강약점을 파악해서 다른 유형의 사람과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지

예시가 많으니 적용하기에도 좋고 내가 보는 사람이 그의 참 유형이 아니라 직업 유형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니 더 이해의 폭이 넓어지는 것 같아 MBTI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 많이 바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