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 관찰 백과 - 여왕개미, 일개미, 병정개미가 만드는 거대한 개미 제국 이야기 바이킹 어린이 과학 시리즈
베벌리 게르데만 지음, 이은경 옮김 / 바이킹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은 동물부터 꽃의 꿀, 씨앗, 과일까지 먹을 수 있는 음식이 너무 많아서

개미들은 새로운 환경에서도 살아남아 지구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1mm부터 5cm까지 다양한 개미들이 존재하는데 몸집은 작아도 힘이 정말 세다.

무려 자기 몸무게의 50배나 되는 물체를 들 수 있는데, 사람으로 치면

22kg인 어린이가 작은 차를 번쩍 들어 올리는 것과 같다니 정말 힘 센 장사인 것 같다.

 

고대 그리스 역사학자 플리니우스와 헤로도토스가 금을 캐는 개미들에 관한 이야기를 했다고 하는데

태평양에 있는 개미집을 연구하던 박사가 실제로 작은 금덩이들을 발견하기도 했다니,

금을 캐는 개미가 전설일지 진실일지 실로 궁금해졌다.

동남아시아를 비롯해 전 세계에서 개미를 먹는다는 것도 흥미로웠다.

톡 쏘는 감귤 맛이 난나고 하는데, 태국과 라오스에서는 

베짜기개미의 알, 민트 잎, 파, 칠리 고추, 생선 소스로 만든 베짜기개미 샐러드가 고기보다 훨씬

비싸다고 하니 그 맛이 궁금하긴 하다.

 

벌, 개미, 말벌의 침이 얼마나 아픈지를 4 가지 등급으로 나눈 슈미트 통증 지수에서

4등급은 총알개미와 타란툴라 호크에 의해 발생하는 통증으로

마치 활화산이 터져 흐르는 곳에 갇힌 것 같은 느낌이란다.

그런데 아마존 마웨 부족의 젊은이들이 전사가 되기 위해 총알개미들이 득실거리는 장갑을

한 달에 20번 정도 5분 동안 착용해야만 한다니, 성인식이 정말 고통스러운 것 같다.

 

개미는 토양 환경에 중요한 분해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씨앗을 모아 퍼뜨리기도 하고,

농작물의 해충을 잡아먹는 등 하는 일이 참 많다. 

일부 새들은 외부의 기생충을 제거하기 위해 개미탑이나 그 근처에 누워서

날개를 펼친 다음 개미들이 날개 위로 기어 오르도록 놔둔다고 한다.

개미가 쏘는 개미산으로 진드기나 기생충을 쫓아 버린다고 하니

생물들은 정말 지혜롭고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며 잘 살아가는 것 같아 정말 신비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