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센티 더 가까워지는 선물보다 좋은 말
노구치 사토시 지음, 최화연 옮김 / 밀리언서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대를 주인공으로 만들고, 특별한 존재로 끌어올리는 순간 

나 역시 특별한 사람이 되는 기적의 대화법에 대해 알고 나니

그동안 나의 대화법이 얼마나 나 중심적이었는지를 깨달을 수 있었다.

 

어쩌다보니 냉철한 사람이 되어 가까이하기 어려운 상대가 된 이유가

대화법일 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름 경청을 잘 한다고 생각했는데 곰곰히 생각해보니

제대로 된 경청이 아니었기 때문에 내 할 말이 끝나면 어색한 침묵이 지속되어

자꾸 만나고 싶어지는 사람은 아니게 된 것 같다.

대화를 나눌 때 바로 앞에 있는 사람을 바라보며 집중하면 

상대방은 자연스럽게 ‘나를 생각해주고 있구나, 친절한 사람이구나’라고 느끼며 

친밀감과 호감을 표현한다. 거기에다 “당신은요?”라는 질문으로 

상대를 주인공으로 만드는 대화를 이끌어가면 상대의 태도는 순식간에 완전히 달라진다.

누구나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상대방을 주인공으로 만드는 상대가 누구든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연애가 서툰 사람, 결혼 상대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의 상당수가

'나'를 주인공으로 하는 메시지를 보내는 경향이 있다. 

대화를 할 때나 메시지를 주고 받을때마다 상대가 중인공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식하면서 이야기하다보면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이 전해져서 연애가 순조로워진다.

아무리 다정한 사람이라도 그 마음이 표현되지 않는다면 전달되지 못하여

좋은 관계를 이어나갈 수가 없다.

재미있게 말하는 것보다 기억에 남게 하는 대화법은 화술이 뛰어나지 않아도 괜찮다.

대수롭지 않은 말이라도 상대방에 대한 느낌을 말하며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시작하며

사소한 행동을 특별하게 인정해주면 대화가 즐거워진다.

00씨는 항상 책상 위가 깨끗하게 정리되어 있는 걸 보니 깔끔한 성격인 것 같아요,

00씨가 있으면 늘 분위기가 화기애애해지네요, 00씨는 음식을 정말 맛있게 드시네요

처럼 지극히 소소한 점이라도 칭찬을 곁들이면 얼마든지 대화의 계기가 된다.

자신의 작은 행동을 따듯하게 봐준다고 느껴지면 상대방과의 거리는 한결 가까워지게 된다.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기억했다가 한참 시간이 지난 후에 구체적으로 말해주면

상대방은 긴 시간 동안 자신이 한 일을 마음에 담아뒀구나 싶어 

감사하는 마음이 곱절이 되고 마음이 따뜻해져 훨씬 긍정적이게 된다.

상대가 해준 일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참 중요한 일이다.

차를 샀다는 말에 "무슨 차 샀어?" 라는 차 자체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차에 탄 사람을 떠올릴 수 있게 "새 차 타면 훨씬 편하겠네, 어디 드라이브 다녀왔어?" 라고 

상대방 중심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연습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