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석 뮤지컬 - 전율의 기억, 명작 뮤지컬 속 명언
이서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 알려진 고전을 재창작한 뮤지컬부터 국내 창작 뮤지컬까지 감동과 희열을 주는 명작 뮤지컬 30편을 

5가지의 주제로 묶어 인문학적으로 해석한 힐링 에세이 여행서답게 뮤지컬이 낯선 관객을 위한 훌륭한 가이드북다웠다. 

뮤지컬의 배경과 줄거리, 아름다운 가사, QR코드를 통해 대표 넘버들을 감상할 수 있게 구성된 아주 친절한 책이다. 

이 책으로 뮤지컬 도장깨기를 해도 너무 행복할 것 같다.  

봐야 할 뮤지컬이 훨씬 더 많아서 문화 생활을 위해 더 절약해야하지만

그래도 직접 관람하면 그 전율은 배가 되니까 벌써 기대가 되기도 했다. ^^

 

'뉴시즈'가 1899년에 일어난 뉴시즈들의 파업 사건을 소재로 한 뮤지컬 영화 <뉴스보이>(1992)를 원작으로 했다고 하니

꼭 한 번 보고 싶다. 가난한 아이들과 열악한 노동자들이 궁핍한 환경에 굴복하지 않고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나가기 위해

노래하는 모습이 혼란한 지금 시대에도 큰 희망으로 다가올 것 같다.

거대 자본가들의 횡포, 파업과 탄압이 난무하는 혼란의 시대를 경쾌한 춤과 에너지 넘치는 노래로, 

탭댄스, 아크로바틱, 발레에서 군무까지 다양하고 열정적인 안무로 만나면 

우리 또한 거대한 세상과 운명 앞에 굴복하지 말고 삶의 권리를 찾기 위해 싸우자고 의지를 다잡을 것 같다.

탄탄한 스토리에 열정적인 연기자들의 역동적인 모습에서 삶의 열정을 나누어받을 수 있으니까 말이다.

 

<시카고>의 등장인물이 실제 인물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캐릭터인데, 

남편과 내연남을 살해한 실제 범죄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름답고 패션이 화려해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고 하니 정말 어처구니가 없다.

극 중에서 교수형에 처한 카탈린 후냑이 교도소에서 유일하게 죄를 짓지 않았지만,

헝가리 출신의 이민자여서 자신의 무죄를 영어로 진술하지 못해 유죄 판결을 받게 되는데

이 캐릭터도 실제 인물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한다.

벨마나 록시의 모델이 된 범죄자들과 달리 외모로 이목을 끌지 못해 교수형을 선고받아서,

여성 변호사 헬렌 시레세의 도움으로 외모를 가꾸고 무죄를 판결받았다고 하니

실화라는 게 너무 황당할 정도로 불합리한 것에 부조리를 느끼면서도

나 자신 또한 외모지상주의에 빠져있는 건 아닌지 반성하게 되었다. 

비판과 풍자를 통한 현실 인식과 카타르시스를 선사할 수 있다는 것이 뮤지컬의 큰 매력인 것 같다.

 

운명 앞에서 개척하는 인생, 유쾌한 인생, 격동의 시대 속에서 영원한 사랑, 어둠 속에서 더욱 빛나는 인간의 마음을

뮤지컬 속 인물들 속에서 발견하며 공감하면서 QR코드로 대표넘버를 들으니

책 읽는 내내 너무 행복하고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