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에
김형경 지음 / 푸른숲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모든 생물들의 다양한 짝짓기 본성을 멋지게 그린 소설이다.

그런데 인간들만이 1부1처제로서 그 본성을 억압하고 있다.

그래서 인간들만이 '환상' 없이는 살 수 없는 존재가 되버렸다.

남자, 여자, 사내, 연희, 세중.

이들은 모두 각자의 환상으로 삶을 지탱한다.

나는 남자를 닮았다. 현실에서 한치도 벗어나지 못하면서, 끊임없이 환상을 쫒는 몽상가. 

 

*성에

'추운 겨울에 유리창이나 벽 같은 데 김이 서려서 서리처럼 하얗게 얼어붙은 것.' 

 

이 책의 제목은 마땅히 '성애(性愛)'가 맞다.

성(sexuality)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행위가 얼마나 본성적인 것인지 너무나 잘 그리고 있다.

그러나 무슨 에로비디오 제목도 아니고 그렇게 하면 값 떨어지지. 작가의 센스를 보라. 아니 창조성이라고 해야겠다.

 

'동시에', '다양한 대상과' 짝짓고 싶은 본성을 제도로서 억압하니, 마치 겨울이면 흔히 생기고 조금만 기온이 올라가면 금새 녹아없어지는 성에처럼, 사랑도 여러 대상을 향해 생겼다 없어졌다 하는 것이다.

남자와 여자 그리고 사내, 이 세 사람이 함께 성을 나눈 것도 겨울산이고, 세중과 연희도 설산에 갇혀 성을 나누었으니..그래서 작가는 '성에'라고 제목을 지었나보다.

 

이 책을 읽고나서 잠이 잘 안올 정도로 많은 생각들이 들었다. 요즘 계속 그런 것들을 접하고 있어서 그렇겠지만..

인간의 성을 여성과 남성으로 이분화시켜 사고하는 것과 이성애 중심의 사고를 완전히 뒤집어 엎는 중이다. 그리고 인간의 성행위에 사랑이 전제되어야한다는 도덕적 잣대가 타당한가에 대해서도 의문을 가지는 중이다. 과연 인간의 성행위는 여타의 생물들과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지..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어쨌든 1부1처제는 세중의 말처럼 인간 스스로 '갈등을 자초'했다고나 할까. 그런데 또 세중의 말에 따르면 갈등을 자초하야 새로운 생명력을 가진다 하니, 1부1처제의 갈등 다음에는 무엇이 있을까? 그것은 유토피아일까??<2006.1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 2 - 개정판
김형경 지음 / 푸른숲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정신분석 받고싶게 만드는 책!

딱 한구절만 기록해두자.<2006.9.25>

 

"생의 비밀은 자기를 아는 데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는 왜? - 동녘신서 65
서진영 지음 / 동녘 / 1991년 4월
평점 :
품절


오래된 책이지만 여성억압의 기원이 무엇인지, 여성억압의 현실이 어떤 것인지 잘 말해주고 있다.
사적소유와 성별분업.
이 두가지가 서로 결합되어 여성억압을 만들었으니, 여성해방은 두가지 다가 타파될 때만이 가능하다.
그래서 여성운동은 본질적으로 변혁운동이고, 변혁성을 잃은 여성운동은 대다수 여성의 삶을 바꿀 수 없다.<2006.6.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고] 이갈리아의 딸들
황금가지 / 1996년 7월
평점 :
판매중지


이갈리아라는 가상의 나라 이야기. 

그곳에서는 사람과 여성을 뜻하는 단어가 '움(WOM)'이고 남성을 뜻하는 단어는 '맨움(MANWOM)'이다.

그곳은 여성이 권력을 장악하고 남성이 억압받는 곳이다.

여성은 자궁과 유방을 자랑스러워하며 윗통을 벗고 다니기도 한다.

남성은 페니스를 부끄러워하며 페호(페니스싸개)를 착용하고 치마를 입고 다닌다.

그곳에서는 움이 아이의 아버지라고 지목한 맨움이 부성보호를 받게 되고, 이는 곧 그 움의 하우스바운드(housebound;남편을 뜻함)가 되는 것이며, 아이를 길러야할 의무를 지고, 움으로부터 생계를 보장받는다.

그곳에서는 강한 여성이 약한 남성을 성폭행하는 일이 벌어지고, 여성상위의 체위에, 삽입성교가 아닌 남성이 여성의 오르가즘을 위해 봉사하는 성관계가 이루어진다.

그곳에는 맨움해방운동을 펼치는 맨움해방주의자들이 있다.

 

이처럼 이갈리아라는 나라는 가부장제 사회를 모권제 사회로 완전 뒤집어놓은 곳이다. 

그렇다고 이 책이 이갈리아라는 나라를 이상향으로 생각들게끔 하는 것은 아니다.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차이가 불평등을 만들어서는 안되기 때문이고, 한 성에 의해 통치되고 지배받는 사회는 이상향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연의 불공평함을 치유하는 것은 모든 문명의 임무'라는 구절이 나온다.

사람사회도 마찬가지다.

성차이든 어떤 차이든, 차이로 인해 차별이 생겨서는 안된다.

'만인이 평등한 사회를 만드는 것은 인류의 임무'라고 말하고싶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과연 우리에게 어떤 권력이 필요할까?..<2006.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자의 탄생 - 한 아이의 유년기를 통해 보는 한국 남자의 정체성 형성 과정
전인권 지음 / 푸른숲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동굴속 황제들이여!
자기 안의 아버지를 살해하라!
그리고
권위주의적, 신분적, 차별적 가족관계를 함께 극복하자!<2005.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