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굴레 - 헤이안 시대에서 아베 정권까지, 타인의 눈으로 안에서 통찰해낸 일본의 빛과 그늘
R. 태가트 머피 지음, 윤영수 외 옮김 / 글항아리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가 말하는 과거의 굴레라는 것은 어떤 것일까?
가깝지만 먼나라 일본.. 과연 일본을 바라보는 서양인들의 시점은 어떠한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마하면 공화정과 전제정치 두 시대로 구분할 수 있을 진데..

과연 로마 황제들의 이야기가 어떻게 펼쳐질지 너무나 궁금한 이야기들 완전 기대 두근두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트로폴리스 - 인간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 도시의 역사로 보는 인류문명사
벤 윌슨 지음, 박수철 옮김, 박진빈 감수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전 기대되는 책! 과연 도시는 어떻게 발전해왔고, 특히 고대의 도시들은 어떤 모습이었을지.. 인류 문명 발달과 함께 그 변천사가 궁금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옥스퍼드 세계사
펠리페 페르난데스아르메스토 외 지음, 이재만 옮김 / 교유서가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분야의 책을 좋아하냐고 물으면

고민없이 대답합니다.

"역사요!"

왜 역사가 재미있나요?

라는 질문에

그냥 과거 사람들이 내가 밟고 있던 이 땅을 똑같이 밟으며 살았다는 사실이 재미있노라 이야기했습니다.

얼마전 읽은 [세계의 역사]도 그렇고

과거에도 사람이 살았고,

그 사람들의 큰 흐름이 이어져 내려왔다는 것을 생각하면

흥미롭습니다.

남겨진 역사를 읽을 때마다 기록의 중요성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그래서 완전 기대를 하고 본

[옥스퍼드 세계사]

앗!! 그런데 이 책 다른 역사책과 조금 다릅니다.

뭔가 과학책이 역사책 이름으로 나온 줄 알았습니다.

기존의 역사 이야기들이 조금은 스토리 위주의 이야기, 인물 위주의 이야기였다면 이 [옥스퍼드 세계사]는 고고학적 사료 위주의 이야기 입니다.

그리고 저자가 한 두명이 아닙니다.

사우샘프턴대학 고고학 교수인 클라이브 갬블

노터데임대학 문예 석좌 교수인 펠리페 페르난데스 아르메스토

케임브리지대학 고고학 교수 존 브룩

보스턴 칼리지 역사학 교수 데이비드 노스럽

스탠퍼드 대학 역사학 교수 이언 모리스

에스파냐 국립연구위원회 연구원 마누엘 루세나 히랄도

흐로닝언대학 역사학 교수 안자나 싱

매쿼리대학 역사학 교수 데이비드 크리스천

인수브리아대학 교수 파올로 루카 베르나르디니

엑서터대학 역사학 교수 제러미 블랙

1부는 빙하의 자식들로 개인적으로는 제일 재미있었습니다. 어디서 쉽게 볼 수 없는 이야기들입니다.

인류의 전 세계적 확산과 문화적 발산의 시작이라는 타이틀로 약 20만년전부터 1만 2000년 전까지의 이야기를 그립니다.

2부는 점토와 금속으로 농업의 출현 그리고 '청동기 시대 위기'까지의 문화들을 이야기합니다.

계속 헷갈리는 것이 '청동기 시대'라고 생각하면 왠지 원시인들의 시대일거 같은데.. 막상 그렇지 않다는 거..

그때도 문명(?)이라는 것이 있다는 거..

3부는 제국들의 진동입니다.

기원전 제 1천년기 초반의 '암흑시대'부터 기원후 14세기 중엽까지 이야기입니다.

4부는 기후의 반전으로 슬슬 지금과 같은 문제들이 더 부각되기 시작합니다.

전염병!!

그리고 마지막 5부는 대가속의 시대로 온난해지는 세계에서의 인류세 변혁적인 두 세기의 배경 등을 이야기합니다. 여기서부터는 현재 지금 우리들의 이야기이기에 역사라는 측면보다 약간은 사회, 정치적 측면이 강해진 느낌이긴 합니다.

책에 대해서 한마디로 말하자면

'Amazing' 입니다.

두껍습니다.

삽화 많습니다.

정보도 어마어마합니다

다른 역사책에서 못본 지구적 역사를 말합니다.(지구사)

지구가 이렇게 나아가고 있구나 하는 걸 느낍니다.

...

그래서 어렵습니다.

도저히 한번으로는 이해하지 못할 듯 합니다.

아마도 한번 더 정독이 필요한 책입니다.

그만큼 우리가 바로 보이지 않아 간과했던 지구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역사, 지구과학, 고고학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한번 읽어보시라 권하고 싶은 책입니다.

 

@네이버독서카페리딩투데이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간지체성론 - 운을 열어주는 사주명리학의 비밀병기
남덕 지음 / 스타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통 명리학자인 남덕 선생이 집필한

'제 1의 명리학 교과서' 간지체성론

추천사에서는 '명리학을 모르는 일반인들도 그냥 읽기만 해도 자신의 운명을 어느 정도는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대만의 사상가 남회곤은 '지명' '독서' '적선' 등이 운명을 바꾸는 방법이라고 강조하였는데, 이 지명의 방법이 명리학이라고 합니다.

이 책은 교과서! 입니다.

말그대로 명리학 교과서

사주풀이, 역학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옆에 두고 읽기 쉬운 교과서입니다.

사실 시중에 나와 있는 역학 관련 책들은 해당 분야 전공자가 아니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우선, 한자가 너무 많습니다.

...

한자 포기한 1인으로서..

한자만으로 포기하게 만드는 책입니다.

둘째는 내용이 너무 어렵습니다.

...

주역강의를 한번 읽었는데..

분명 한글과 한자인데..

이해는 절반도 못한 거 같습니다.

이에 대해 저자인 남덕은 우선 간지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간지란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천간과 지지가 다른 천간과 지지를 만났을 때 어떠한 현상이 나타나고 그 결과로 인생의 운명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연구 확인하는 학문이 간지체성론!

제목인 [간지체성론]은 '학문'의 이름입니다.

양陽은 양陽끼리

음陰은 음陰끼리

결합해서 하나의 기둥을 만들기 때문에

전부 60개의 기둥이 만들어집니다.

이번 책을 통해 제가 몰랐던 것 중 알게 된 것이 바로

명리학이 우리조상의 선仙철학에 있다!는 것

(근데 문제는 관련 사료가 없습니다... 맥이 끊겨)

공식적인 역리학 소개는 신라 말의 고승 도선국사의 경우가 대표적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명리학 시조는 도선국사로 공인되었다고 하는데 이 도선 스님보다 앞선 유명 학자인 '설총' '최치원'선생 등이 있다고 합니다.

이후 고려시대에는 최충, 안유, 길재, 등이

조선시대는 무학대사가 유명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명리학자가 있는데 이황, 이이, 허준 등도 명리학의 대가라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약간 아쉬운 것이

명리학이 원래 우리 민족에서 출발했으며 중국으로 건너가 꽃을 피웠고 최근에는 일본에서 실용화되었다는 주장에 대한 구체적 사료 증거가 더 보충되었으면 어땠을까 합니다.

여기서 명리학은 사주학 또는 추명학으로 사람이 누구나 태어나면서 가지고 태어나는 생년, 생월, 생일, 생시를 가지고 풀어내는 팔자입니다.

여기서 팔자는 생년, 생월, 생일, 생시에 천간과 지지가 합해져서 하나의 기둥을 형성하기 때문에 4기둥으로 형성되며 이 4기둥을 사주(四柱)라 하고

글자로는 8자(八字)가 되기때문에 팔자라고도 합니다.

사주 = 팔자

고로 사주팔자를 본다는 말은 결국 동의를 두번 반복하는 셈입니다.

생년, 생월, 생일, 생시의 간지가 서로 작용하여 그 사람의 운명을 좌우하게 되며, 명리학이란 궁극적으로 간지의 결합에 의해 추리되는 변화의 과정과 결과라는 것입니다.

운명이라는 것이 과연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하지만...

변화의 과정과 결과라는 말이 인상에 남습니다.

이번에 알게된 2번째 사실

사주를 위해 뽑는 년주의 기준은 음력 1월 1일이 아닙니다.

바로 입춘!!!

음력이나 양력과 관계없이 입춘 같은 계절을 기준으로 합니다.

입춘 전에 출생했으면 당년도에 출생해도 전년도의 년주를 씁니다.

올해 입춘은 2.3일

고로 2021년 2월 5일 생인 사람은

음력으로는 2020년 12월 24일 생이지만

입춘 이후 태어났기 때문에

년주는 21년의 년주(신축)을 씁니다.

만일 2.2일 태어났었다면 경자(庚子)를 사용해야 했었습니다.

월주는 만세력에 기재되어 있는 각 월의 월건을 사용합니다.

아.. 여기서부터는 살짝 어려워집니다.

만세력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법서입니다.

일주 또한 만세력에 기재되어 있는 날을 가리킵니다.

시주는 출생시간으로 12지의 한시간을 계산합니다.

또한 오행을 이야기하는데

여기서 행行은 운동 변화함으로써 기질이 이합집산하는 작용체를 뜻합니다.

제가 읽는데 이해가 그래도 술술 풀리는 걸 보면

그만큼 책이 쉽게 쓰여 있다고 생각됩니다.

여기서 사주의 핵심은 각자 사주의 균형에 있기 때문에 사실 내 사주만 알면 된다기보다는 내 주변 사람들의 사주와도 연결시켜야 하고 운명이기 때문에 올해의 사주와도 연결시켜봐야 합니다.

한마디로 옆에 두고 읽어봐야 할 책!

[간지체성론]

물론 사주가 절대운명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러한 사주를 통해 세상의 흐름과 변화를 읽어낼 수 있는 눈을 갖출 수 있다면 조금 더 세상을 마음 든든하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아는 만큼 보이기에..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를 통해 출판사에서 협찬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