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의 굴레 - 헤이안 시대에서 아베 정권까지, 타인의 눈으로 안에서 통찰해낸 일본의 빛과 그늘
R. 태가트 머피 지음, 윤영수 외 옮김 / 글항아리 / 2021년 2월
평점 :
우리가 일본에 대해서 가지는 감정은 무엇일까요?
기본적으로 반감입니다.
'임진왜란'
'한일합병'
'일제치하'
'위안부'
'강제징용'
'서대문형무소'
약간 느낌이 이렇습니다.
우리가 니들한테 어떻게 해줬는데
(글자도 알려주고, 기술도 전해주고, 문화를 꽃피우게 해줬는데)
어떻게 니들이 우리의 등 뒤에 비수를 꼽느냐
약간 이런 배신감의 감정이 있습니다.
또 반면에 한편으로는 선망입니다.
"일제물건은 좋지"
"역시 일본이야."
"일등시민"
"일본의 거리"
"Made in Japan"
등이 가지는 이미지는 고급스럽다. 질이 좋다 등등의 이미지입니다.
무언가 일본에서 유행이다.
일본에서 인정받았다.
라고 한다면 품질이나 성능이 엄청 좋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우리나라가 많이 수준이 올라왔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반일 감정이 아니라면
우리나라차보다는
일제차를 더 선호할 것입니다.
(아... 모두가 그렇다는 것은... 저는 안탈거긴 한데..)
싫지만 한편으로는 좋은
밉지만 한편으로는 가지고 싶은
정말 멀고도 가까운 나라 일본
그 일본에 대해 정말 가가이에서 일본을 이야기한 책
[일본의 굴레]
입니다.
40년이 넘는 세월을 일본에서 살면서 일본에 대해
듣고 보고 배우고 느낀
태가트 머피 작가
그는 일본이라는 나라가 어떻게 생성되었는지부터 시작합니다.
우리나라와의 쉽게 설명할 수 없는 관계 또한 서두에서부터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일본의 역사
전국시대의 혼란
낭만이 넘치는 에도 시대
쇄국 정책과 이어지는 메이지 유신
제 2차 세계대전 속에서 일본의 선택
기적이라고 밖에 볼 수 없는 전후 경제의 회생
1980년대 버블의 형성과 붕괴
현재의 정권
(.. 정확히는 아베정권)까지 이어지는
방대한 이야기는
역사, 정치, 경제, 문화를 모두 망라하여 보여줍니다 .
왜 일본은 이러한가?
를 어떻게 보면 가장 객관적으로 설명한 책이 아닐까라는 생각도 감히 해봅니다.
에도시대의 강력한 막부의 권위를 바탕으로 수 백년간 이어진 평화가
눈부신 사회경제적 발전을 이루도록 해주었다는 부분에 있어서 모순적으로 보여지는
신분제도가 가져다 준 '경제발전' 또한 재미있습니다.
이 모순의 에너지가 여전히 일본이라는 나라를 다른 나라와는 조금 다른
'쟤들 왜 저래?'를 이끌어내는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사실 몰랐던 일본을 알아가는 재미가 정말 쏠쏠한 책입니다.
이들은 이렇게 생각하구 있구나.
이 광기 뒤에는 이러한 배경이 있구나.
예를 들자면 난징 대학살과 관련해서도 일본이 독일과 다른 점이 무엇인지 설명합니다.
"난징 대학살은 야만주의와 도덕적 파탄이 횡행하던 당시 세계의 흐름에 일본이 동참하던 과정에서
일본의 특수한 지배 구조가 작동했던 방식을 여실히 드러낸다.
(...)
일본의 경우 사악한 광기에 사로잡힌 미치광이 독재자가 원인은 아니었다.
(...)
일본을 재앙으로 몰아넣은 범인들을 찾는 부질없는 작업을 하기 보다는,
전쟁에 이르기까지 수십 년간 일본 지배 체제의 연속성이 단 한번도 끊어지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는 그렇다면 우리들의 굴레는 무엇일까?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과거의 굴레들은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태가트 머피씨처럼 우리나라에 머물며
우리나라의 역사를 연구하고
우리나라의 문화를 들여다보고
가장 객관적으로 우리를 바라봐줄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응? 갑자기 '문제적 남자'의 타일러 러쉬가 생각나는 이유는??
출판사 지원으로 읽은 도서입니다.
궁금했던 일본의 역사를 정말 잘 이해할 수 있었던 기회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출판사 지원으로 읽은 도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