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거서 크리스티 읽기 - 역사가가 찾은 16가지 단서
설혜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보이 호텔과 리츠 호텔. 사실 문학 작품속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호텔 이름들입니다. 그래서 그냥 막연히 고급 호텔을 대표하나보다라고만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 호텔들에도 숨겨진 역사가 있었습니다.
먼저 사보이 호텔 . 애거서의 소설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며 상류층의 계급성을 대변하는 미장센으로 원래는 사보이 궁전이 있던 자리에 호텔을 세운 후 이름을 사보이 호텔로 명명합니다.
이 곳은 헨리 3세의 왕비 프로방스의 엘레아노르가 결혼 후 외삼촌 사보이 백작 피터를 영국으로 불러들이며 템스강 인근에 사보이 궁전을 세웁니다. 1864년 화재로 궁전은 소실되고 황폐한 부지로 남아있던 것을 1870년대 공연제작자 리처드 도일리 카트가 궁전 부지에 극장을 지으며 "사보이 극장"으로 명명합니다. 극장의 흥행으로 사보이 극장 옆에 현대식 호텔을 짓기로 결심한 카트. 그는 이 호텔을 운영할 전문가로 호텔리어 세자르 리츠를 총괄 매니저로 요리사 오귀스트 에스코피에를 주방장으로 임명하고 영국 굴지의 호텔로 자리매김하게 됩니다.
그런데 사보이 호텔의 일등공신이었단 리츠와 에스코트가 1897년 뇌물 수수 등의 사유로 해고를 당하게 되고, 이들은 억만장자 투자자들을 끌어들이며 파리의 방동광장에 호텔 리츠를 개장, 이후 1906년 런던 피카딜리에 리츠 호텔을 세우게 됩니다.

"사보이 아니면 리츠?"라는 말은 런던을 방문하는 외국의 유명인사라면 누구나 도착하자마자 인사처럼 받게 되는 질문이자 관용구가 됩니다.

그런데 애거서의 작품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호텔은 사보이도, 리츠도 아닌 [버트램 호텔]입니다. 사실 현실에는 없는 호텔인데 "브랑누스 호텔"과 플레밍스 호텔"이 서로 자신들의 호텔을 모델로 삼았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이 호텔의 특징은 사보이와 리츠가 현대화된 설비를 자랑한 것과 반대로 100년전쯤의 과거식 설비를 자랑합니다. 시간이 거꾸로 가는 곳과 같은 고풍스런 버트램 호텔. 만일 영국 여행을 하게 된다면 실제 이 버트램 호텔에 한번 머물고 싶습니다. 버트램 호텔이 등장하는 것은 <버트램 호텔에서>로 마치 주인공처럼 호텔이 등장합니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애거서 크리스티 읽기 - 역사가가 찾은 16가지 단서
설혜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냥 막연한 추리소설을 잘쓰는 애거서 크리스티에 대해 잘 알게 되는게 이번 [애거서 크리스티 읽기]의 장점인 것 같습니다. 바로 애거서 크리스티가 간호사이면서 약제사였다는것. 그녀는 세계대전 당시 병원의 조제실에서 약제사로 일을 했습니다. 그 경험 덕분인지 애거서가 쓴 66권의 장편 소설 가운데 살인, 살인미수, 자살과 직접 연관되어 독약이 등장하는 작품은 무려 41권에 달합니다. 그 중 가장 많은 약이 등장하는 것은 <카리브해의 비밀>로 21가지의 약물이 나옵니다. 애거서는 "독약의 여왕"이라는 별칭도 얻는 데요, 적확하고 전문적으로 같은 약이라도 이롭게 쓰이는 것과 해롭게 쓰이는 것 등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당시 시대상과 연결해보더라도 "신약 발견의 황금기"라고 불릴 만큼 약학 분야의 혁신이 이루어졌습니다. 1,2차 대전이라는 비극적 현실속에서 신약개발은 수많은 병사와 국민의 생명을 살렸습니다. 이때의 대표적인 신약이 인슐린과 페니실린입니다. 그러나 제약회사들은 자본주의의 생리에 부합하여 약에 관련된 유행을 끊임없이 만들어내는데요 애거서는 이 현실을 소설 속 이야기로 정확하게 꼬집어 냅니다. 이로운 약과 독약의 모호한 경계, 약에 대한 의존이 인간에게 가져올 폐해 등의 우려를 담아 이야기로 풀어낸 애거서입니다. 

**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애거서 크리스티 읽기 - 역사가가 찾은 16가지 단서
설혜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국 남성성의 핵심을 설파하며 이상적인 영국인으로 등장한 탐정 셜록 홈스 (아.. 베네딕트가 연출한 셜록은 진짜 .. 최고)
그런데 애거서 크리스티가 창작한 에르퀼 푸아로와는 셜록홈스와는 완전 다른 탐정입니다.
우선 영국인이 아닌 벨기에인, 즉 외국인이고
길고 야윈 얼굴에 날카롭고 예리한 인상을 준 셜록에 비해 푸아로는 달걀모양의 머리에 165cm의 키, 이상하게 살이 찐, "희극에 나오는 이발사 같은 모습" 입니다. 쉽게 말해 동네 푸근한 아저씨 같은 모습이라고 할까요?
완벽해 보이는 셜록에 비해 어딘가 이상하고 결점투성이인 존재로 보입니다.

설혜심 작가는 애거서 크리스티가 일부러 반영웅을 만들어낸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품습니다.
애거서 크리스티가 작품 활동을 하던 시기가 추리소설의 황금기로 "셜록 홈스와 결별하는 순간"이었습니다.
(30) 전쟁의 폐허속에서 심신이 망가진 남성들에게 셜록 홈스 같은 완벽한 영웅상을 대입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이젠 거친 바깥 세상이 아니라 안락한 가정을 무대로 삼아 차갑고 논리적인 남성성보다는 섬세하고 부드러운 여성성을 내세우는 '코지(cozy) 미스터리' 물이 인기를 끌게 되었다.

유행하는 작품의 스타일을 보더라도 당시의 시대상을 알 수 있다는 것!! 이것이 진정한 작품을 즐기는 방법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당시의 추리물은 전쟁 후 피폐해진 일상에서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제공하며 탈출구를 제공해주었노라고 말합니다. 혼탁한 사회에서 종국적으로 도덕성이 회복되고 악인이 처벌된다는 것은 사람들에게 심리적 안정감 또한 제공합니다.


**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애덤 스미스 국부론 - 번영과 상생의 경제학 리더스 클래식
이근식 지음 / 쌤앤파커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전 기대됩니다. 쉽게 읽히지 않는 책들이라 어려움이 많은데 이번 기회에 이름만 알고 있던 것들의 내용까지도 내꺼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공정사회 - 공정이라는 허구를 깨는 9가지 질문
이진우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정과 불공정에 대하여 그 어느때보다 민감한 지금 시대
과연 공정이란 무엇인지?
정말 우리 사회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이고
이것에 대한 해결책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