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해석
제드 러벤펠드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최근 읽었던 소설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이다.

 

프로이트의 미국 방문이라는 역사적인 사건을 배경으로

가상의 심리학자 영거를 등장시켜 살인사건을 풀어나가고 있다.

 

일단 성실하게 조사된 - 조사원을 따로 고용했다는 정도니까 - 자료를 바탕으로

당시 미국의 모습이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다.

역사적인 배경에 대한 정확하고 세밀한 묘사는

역사와 문학을 동시에 즐길 수 있게 해주는 훌륭한 기법인데,

개인적으로 최근 읽은 책 중에는 이 부분이 가장 낫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캐릭터인데, 실존했던 심리학자들을 등장시켜 작가가 개성을 부여했다.

헌데 그 개성들이 역할분담이 잘 되어있어서

그 사람들간의 관계가 또 하나의 긴장을 낳을 정도가 된다.

특히, 프로이트의 캐릭터는 압도적인 카리스마를 자랑한다.

(내가 알고 있는 프로이트의 인물상과도 일치하는데

좀 더 전문적인 평전을 읽어보지 못한 것이 아쉽다.)

프로이트와 융과의 긴장은 역사적으로도 그러했던 것을

작품 안에서 개성을 부여하여 더욱 역동성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전에 '플리커 스타일'의 리뷰를 올리면서 정말 일그러진 이야기라고 한 적이 있다.

헌데 이 살인의 해석에서 드러나는 이야기 또한 정말로 많이 일그러져 있다.

그렇지만 플리커 류와 이 작품이 전적으로 다른 것은

전자는 행동의 이유보다는 행동 자체를 묘사하는 반면

후자는 왜 그러한 행동을 하게 되었는지 즉, 욕망의 근원에 대해 묻기 때문이다.

그 근원을 탐구하는 사람들을 등장시켜서 묻고,

그것을 통해서 독자로 하여금 묻게 하고.

물론 그 의문에 대한 해답을 궁극까지 추구하지는 않지만,

(그렇다면 차라리 심리학 서적이겠지.)

작품을 풍요롭게 하고 독자의 마음에 깊은 인상을 남기기에는 충분하다.

물론 이 의문에 대해 집중을 해 볼 것인지는 전적으로 독자 몫이고,

아니오를 선택한다고 해도 그 탐구는

타인의 마음을 간파하는 심리학자라던지, 속고 속이는 인간관계라던지 하는 형태의

흥미거리로 우리에게 재미를 선사해준다.

 

성실하게 쓰여졌고 곁들여진 볼거리도 많은 작품이다. 

또한 읽는 이가  가볍게 대하고자 하면 가볍게 응해주고

진지하게 대하고자 하면 진지하게 대해줄 수 있는 경계에 서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8-28 2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장에 꼽아 놓고 아직 읽지를 못했네요.^^; 프로이트의 일그러진 이야기 굉장히 궁금하네요. 썩히지 말고 빨랑 읽어야 겠네요.

산도 2007-08-29 0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고 싶어지게 하는 리뷰... 추천하고 갑니다~^^

Textian 2007-08-29 2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짱돌이/ 프로이트의 이야기가 일그러진 것은 아니고, 살인이 벌어지게 되는 과정이 일그러진 이야기랄까요^^
주드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