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을 말해줘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한사람과 한사람이 만나 연애를 한다는 건, 이전엔 서로 다른 각자의 세계에서 살아온 두사람이 공통 분모를 찾아가는 것인지 모른다. 어떤 사람은 너무 비슷할 수도 있을 것이고, 또 다른 이들은 두사람의 세계가 너무나 달라 어려워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동경만경'의 작가인 요시다 슈이치가 쓴 <사랑을 말해줘> 역시 서로 다른 세계를 살아가는 두 남녀의 사랑이야기를 다룬 연애소설이다.
이 책은 소리를 듣지도 못하고, 말을 하지도 못하는, 한마디로 적막의 세계를 살아가는 교코와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방송 프로그램을 만드는, 소리로 가득한 세계를 살아가는 슌페이의 이야기다. 너무나 다른 두 사람은 우연히 공원에서 만나 사랑을 느끼게 된다.
어렸을 적 사고로 귀를 못 듣게 된 교코는 주변의 소리에 어떤 영향을 받지 않는다. 교코는 낮잠을 자는 데도 어떤 소리의 방해를 받지 않고, 보통 사람들에게는 아무 것도 아닌 일이 교코에게는 두려움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다른 사람에게는 무서운 순간이 교코에게는 모르고 지나가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 교코를 보며 슌이치는 때론 평화로움을 느끼지만, 때로는 무서움을 느끼기도 한다. 하지만 교코와 함께 하며, 대화수단으로 서로가 하고 픈 말을 메모로 전하며, 그는 그동안 자신이 그냥 아무 생각없이 던졌던 말의 가벼움과 얼마나 필요없는 말들을 해왔는지, 그로 인해 다른 이에게 상처 주었던 적은 없었는지.. 새삼 그냥 써왔던 말들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된다. 나역시 이 부분에서 그냥 말로 생각없이 던질 때와 그 말을 글로 썼을 때 마음이 정리되고, 필요없는 말들을 줄이게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새삼 글쓰기의 중요성을 느꼈다고나 할까?
<사랑을 말해줘>의 원제는 '조용한 폭탄'이다. <사랑을 말해줘>라는 제목은 독자의 관심을 끌기에는 매력적인 제목이지만, 작가의 의도를 다 설명하기에는 뭔가 부족함이 있는 것 같다. 소설을 읽으면서 원제목을 생각하면 이 소설을 이해하는 데 더욱 도움이 될 것 같다.
그리고 이 소설은 짧고 간결한 문체로 비교적 읽기 쉽게 쓰여진 연애소설이라고 하지만 읽고 나면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것 같다. 우리가 상대방에게 던지는 말에 대해, 또 어떤 글이나 매체를 통해 우리가 다른 이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많은 의미들에 대해서..
우리 주변에서 너무도 익숙해진 소리들, 가볍게 던져지는 말들.. 우리가 무심히 스쳐 지났던 것들에 대해 생각해 보고 싶다면, 읽어 볼 것을 권하고 싶다. 그리고 평소 요시다 슈이치의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번 작품도 결코 실망을 주지는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