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마크 뷰캐넌 지음, 김희봉 옮김 / 지호 / 200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10년전만해도 알기 쉽게 쓰여지고, 번역이 잘 된 대중과학서적은 매우 찾아보기 힘들었다. 직역체에 부적합한 단어선택으로 가뜩이나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들을 더욱 더 어렵게 만든 책이 많았다. (원판이 얼마나 좋았던지 간에) 그 와중에도 학위를 받고 전문적으로 과학서적 번역에 힘쓴 분들이 있어서 지금은 좋은 책들이 조금씩 늘어가는 추세다.

이 책은 94년경에 나온 소위 빨간책이라 불리는 『카오스』, 그리고 노벨상 수상자인 일리야 프리고진의 『혼돈 속의 질서』, 그리고 근래에 나왔던 화제작 『링크』의 계보를 잇는 비평형계, 즉 복잡한 세상을 보는 새로운 시각에 관한 책이다.  (번역은 사이언스 북스 쪽에서 활약하고 계시는 김희봉님)

17세기 뉴턴 역학은 결정론적인 세계관을 정립했지만, 20세기에 등장한 양자역학은 미시세계는 결정론적이기 보다는 확률론을 따른 다는 것이 밝혀졌고, 20세기 후반에 다시 각광받기 시작한 카오스 이론은 그나마 남은 뉴턴역학의 자리마저 위협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다시 결정론적이고 예측가능한 세계에서 앞을 내다볼 수 없는 막연한 혼돈으로 바뀌어 갈 무렵 나타난 것이 복잡계와 네트워크 과학이다.

 지구과학(지진), 고체물리(자석), 자연(산불), 경제(주식), 역사(도시) 등 다양한 분야의 예와 실험, 그리고 알기 쉬운 설명으로 이들이 공통적으로 변화들이 프랙탈 성질을 가진다는 것과 멱함수 법칙을 보인다는 것을 납득시켜준다. 이런 다양한 예와 실험이 이 책을 제목인 "세상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Ubiquity 에 어울리게 만들어 주고 있다. 이 책에서 말하는 단순함이란 우리가 보고 있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셀 수 없이 많지만,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세상 자체의 몇가지 근본적인 규칙이라는 것이다. 내용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예측이 불가능한 상태로 조직화하는 세상이라는 관점 속에서는 인간의 자유의지 마저도 나름대로 설명가능한 규칙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결론내리고 있다. 

하지만 어찌보면 굉장히 암담한 결론을 내릴 수도 있겠다. 결론은 "이러한 예측 불가능성과 격변은 시스템 자체에 포함된 것이라 어쩔 수가 없고, 누구 탓도 아니다"라는 것이니까. 어떤 사건에서 원인을 찾는 일이 부질없는 일 일수도 있다는 뜻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복잡계 & 네트워크 과학은 아직 진보중이고 발전할 여지가 많으니 실망은 이르다. 과연 인간은 예측불가능성과 격변마저도 통제할 힘을 가질 수 있을 것인가?는 또 다른 질문이고 후대 과학자들의 일이 되겠지만.

어쨌든 지금은 뉴턴시대에서 카오스의 등장으로 도래한 예측불가능성에서 조금 벗어나 약간의 빛을 본 것으로 위안을 삼아도 좋지 않을까.  패러다임의 변화는 '시각의 변화'로부터 오는 것이니까. 이로서 우리는 2004년에도 훌륭한 대중과학 서적 한 권을 얻게 된 셈이다.

이 책을 재미있게 보신 분들은 『링크』도 꼭 읽어보시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