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군... 우리가 아는 광해군은 위인인가?!! 그의 전기를 위인전으로 부르기에는 아직 문제가 있을지 모르지만 그의 삶과 그의 시대는 이야기 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광해군이 결국 실패했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지만 그 과정에서 나타난 그의 삶은 적극적이었다.  광해군의 삶을 비극으로 몰아간 17세기 초반은, 격동의 시대를  살고있는 오늘의 우리가 한 번쯤은 반추해 볼 만한 역사적 교훈들을 무수히 지니고 있다.

광해군은 애초에 왕이 될 인물이 아니었다. 첩의 몸에서 태어난 자식인데 그나마 맏이가 아닌 둘째.. 그렇다고 아버지인 선조가 특별히 총애한 것도 아니었다. 그럼에도 임진왜란을 만나 어겹결에 왕세자가 되었다. 왕세자가 된 후 그는 일선을 누비며 전쟁을 지휘하였다. 아버지 선조는 궁벽진 의주로 피난하여 여차하면 명나라로 귀순하려 했을뿐이다. 자연히 광해군의 신망은 높아가고 선조의 위신은 땅에 떨어졌다.

더욱이 선조는 늙으막에 처녀에게 새 장가를 들어 아들 "영창"을 낳았다. 선조가 무슨 변덕을 부릴지, 언제 왕세자 자리에서 실족할지 모르는 공포 속에서 광해군은 17년을 버텨야 했다.

천신만고 끝에 왕위에 오른 광해군은 의욕이 넘쳤다. 임진왜란 때문에 피폐해진 민생을 어루만지고 무너져내린 국가의 기반을 재건하려고 노심초사했다.

대동법을 실시하고 동의보감을 반포한 것은 그가 남긴 업적의 상징이다. 뿐만 아니라 왕이 될 수 없었던 처지에 왕이 되었던 콤플렉스를 치유하려고 왕권강화를 위해 몸부림쳤다. 신하들 사이의 정쟁을 막기 위해 그들을 다독거리고, 자신의 권위를 세우기 위해 궁궐도 새로 지었다.

하지만 정쟁은 그치지 않았고, 역모사건은 이어졌다. 그런 와중에 영창군이 살해되고, 인목대비는 유폐되었다. 소심한 성격의 광해군은 결단력이 부족하여 "어머니를 폐하고 동생을 죽였다."는 멍에를 쓰고 말았다.

나라 밖으로부터의 도전도 만만치 않았다. 왜란이 끝나 겨우 한숨 돌리는가 싶더니 압록강 너머의 만주에서 격변이 일어나고 있었다. 여진족 왕조 후금을 세운 누르하치가 만주를 집어삼키더니 명나라를 궁지로 몰아넣었다. 위기에 처한 명나라는 조선에 손을 내밀었다.누르하치를 응징하는데 필요한 물자를 보내라고 강요했다. 하지만 몸으로 전쟁을 체험했던 광해군은 고분고분하지 않았다. 그는 명의 요구를 거부하면서 한편에서는 후금을 다독거렸다. 

광해군만큼  열심히 주변 열강을 동향을 살피고, 그만큼 기민하게 국세정세변화에 대처하려 했던 군주는 일찌기 없었다. 그러나 광해군은 1623년 인조반정을 만나 왕위에서 쫒겨났다.쿠테타를 주도한 세력들은 "어머니를 폐하고 동생을 죽인 것", "명의 은혤ㄹ 배반한 것"등을 그 면분으로 내세웠다. 그는 쿠데타 세력을 탓하고 싶었겠지만 내정을 제대로 추스르지 못한 책임을 스스로 질 수 밖에 없었다.

광해군을 쫒아 낸 사람들.. 그에게 `혼주'란 이름을 붙여준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는가.. 1636년 겨울 조선은 청나라의 침입을 받는다. 이듬해 인조는 남한산성에서 나와 청 태종에게 무릎을 끓고 항복했다. 세번 큰절을 올리고, 한번 절 할때마다 세 번씩 조아리는 가장 치욕적인 항복의식이었다.

그들은 정권을 획득하는데 성공했지만 국가를 보위하는데는 실패했다. 명과 후금을 거슬려 전쟁을 막고자 했던 광해군을 "패륜아"라고 욕했던 그들은 과연 무슨 생각을 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