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국어 교과서 소설 읽기 중1 둘째 권 중학생 국어 교과서 소설 읽기
조찬영 엮음, 오호윤 감수, 김슬옹 추천 / 가로책길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육아, 엄마표 학습 코칭으로

공감 일기 쓰는 슈가레이블입니다.

초등학생인 아들의 국어 공부라치면

학교에서 교과서 배운 내용 문제집으로

복습 및 글쓰기 숙제와 독후 숙제.

집에서는 독서와 독해력, 어휘력 관련

문제집풀기가 전부입니다.

아들 친구들의 국어공부 방법을 보면

학원이나 과외를 통해

토론, 글짓기 연습을 하고 있더라고요.

어디서 공부하냐의 차이이지

토론과 글짓기는 아이들 배움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그럼 중학생이 되면 아이들은 국어 교과서을

어떻게 공부할까요? 그게 참 궁금했었습니다.

분명 초등학생때보다 글감 하나하나를

해석하며 배울것 같긴한데

감이 잘 안 오더라고요.

그러던차에 리뷰어스 카페에서

<중학생 국어 교과서 소설 읽기 중1 둘째권>

서평기회가 생겼습니다.

아들이 읽기 전 엄마가 읽어보는

중학생 국어 교과서 소설읽기!

검색해 보니 이미 중1 첫째권이 나와

인기 있는 책인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중학교 9종의 국어 교과서에 나온 소설을

한권으로 완정 정복할 수 있다니

참~ 솔깃하지 않으신가요?

전 솔깃해서 읽어보았습니다.^^

궁금하면 또 못참으니까요.

또, 아들에게 어떻게 이 책을 소개해야하는지

먼저 읽어보기도 해야해서요.

창의 융합 교육을 미래 교육의 핵심으로 여기며

이를 독서와 토론,글쓰기에 강점을 갖는

인재 육성을 목표로 융합 교육을 연구하는

조찬영 선생님께서

사람과 우리 사회를 이해하는 능력을 갖추며

독서 논술과 창의 융합교육에 맞는 독서활동을

제시하기 위해 여러 소설을 함께 엮으며

이 책을 쓰셨습니다.

고등학교에서 39년 동안 국어 교육에 헌신하고

창덕여자고등학교에서 정년 퇴임하신

오호윤 선생님

서울시립대학교 교육 연구 교수이자

교육 공학 박사이신 김윤정 선생님

상인 고등학교 국어 교사이신 박현성 선생님

세종 국어문화원 원장님이신 김슬옹님 등

국어 교육분야의 많은 분들이

추천도서로 말을 아끼지 않으셨습니다.


아홉편의 소설이 이 책에 담겨있고

그에 따른 등장인물 주인공의 소개가 이어집니다.

만화와 학습이 적절하게 매치되어 어려운 소설

작품의 내용을 재미있게 풀어주었습니다.

학교마다 선택하는 국어 교과서가 달라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모든 문학작품을

다 읽어볼 수 있는 현실이 아니기에 중학교 9종의

국어 교과서에 중복해서 등장하는 문학작품이나

문학사적 평가가 높은 작품을 모아 준 이 책이

아이들에게 참 도움 많이 되겠다 생각됩니다.

또 이 책을 읽어보니

문학의 기본 개념과 개념어들을 정갈하게

정리 되어 있어 문학을 이해하는 눈도

쉽게 뜨이리라 생각됩니다.

전 페터빅셀의 '책상은 책상이다'를

먼저 읽어 보았습니다.

스위스 루체른에서 태어 난 페터빅셀 작가에

대해서 먼저 나옵니다.

소설을 읽기전 작가에 대해 알아두는건

중요한 과정 중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국어 공신 선생님의 문학작품 감상 꿀팁으로

주제파악부터 알아갑니다.

문학작품 내용에 형관펜으로 인쇄된 부분이 있는데

이는 중학 내신을 위한 국어 공신 선생님의

풀이 입니다.

이렇게 상세하게 내용정리가 되어 있으니

중학교 국어 교과서 소설에 대한 이해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또 문학 작품에 대해

작품소개, 핵심정리, 글의 짜임, 소설의 특성과

전개과정, 소설 속 인물 관찰, 작품에 대한 이론,

서·논술형 글쓰기를 통해

내신 수능 만점 키우기 연습을

스스로 할수 있게 단계별 구성으로 제시해 주고

마지막 작품 해설까지 완벽하게 마무리 해 줍니다.

이쯤이면

<중학생 국어 교과서 소설읽기-중1 둘째권> 책은

국어 교과서 소설 작품을 완전 정복 할수 있게

해 주지 않을까~ ! 생각됩니다.

중1 첫째권도 준비해서 읽어봐야겠습니다.

초등 고학년, 중 1학년 생들은

만점 공부 노하우를 배우기 위해서라도

이 책을 꼭 읽어봐야 한다고 생각되네요.

찐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