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아이를 둔 주부로서 하루하루 빠듯하게 살아가는 나는, 마음의 빗장이 헐거워지면 생각나는 스승님이 있다.
성탄이나 세일 무렵 백화점의 갖가지 물건들 앞에서, 누나 옷을 물려 입은 동생을 업고 빛고운 아동복 매장을 지나가다가, 명절이나 부모님 생신 때 만 원짜리 돈 몇 장으로 고마움을 때우려 할 때 그렇다.
유치원에서 딸아이가 친구에게 얻어맞고 얼굴에 난 상처를 볼 때, 아파트 단지를 도는 음악학원, 컴퓨터 학원, 영어학원의 노란 봉고차들을 볼 때, 복권이나 경품 따위를 은근히 바라고 있는 나 자신을 느끼게 될 때, 얼굴 거죽에 두터운 이기심과 경솔함, 생각의 천박함을 꾸짖는 선생님의 희끗희끗한 눈썹이 떠오른다.
그 분은 고려대학교 영문학과 김우창 선생님이시다. 허영에 찬 마음으로 신청한 '20세기 영시(英詩)' 수업. 미팅에서 남학생들에게 잘난 체라도 해볼까, 영어로 낭만과 문학을 향유해볼까 하는 경박한 마음 때문이었을까. 형편없는 학점을 받고 말았다. 정신을 차리고 책을 펴고 강의에 몰두하니, 그 말씀은 매 시간마다 우매한 대학생을 깨우치는 깨달음이었다.
문학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문학으로 세상이 바뀌나 하는 의혹이 들 무렵이었다. 어느 날 선생님은 'Passion'에 대해 말씀하셨다. 우리말로 '열정'이라 번역되는 'Passion'은 실은 고통이라는 뜻이 있다고 하셨다. 그래서 바흐의 '마태수난곡'도 영어로는 'Passion of St. Mathew'라고 하시며, 무엇에 대한 열정은 그것에 대한 고통까지 기꺼이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셨다.
그리고 남자친구를 만나 사랑하고, 꿈을 가지고 직업을 갖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부모가 되고 하면서 그 말씀이 맞는구나 하는 때가 많았다. 사람을 사랑하는 일, 자신이 사랑하는 일을 해내는 일은 열정이 없이는 껍데기나 다름없고, 또 몸과 마음이 아픈 고통이 없이는 살아내기 어려운 것 같다. 또 두 아이를 낳고 기르면서 고통이 삶을 얼마나 아름답게 하는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느끼게 된다.
열정과 고민이 넘쳐 이리저리 방황하던 대학 시절, 김우창 선생님은 늘 한결같은 모습이셨다. 회색 양복바지에 흰 와이셔츠. 회색 바지는 오래 입으셔서 무릎과 엉덩이 부분이 반짝반짝 윤이 났다. 백발이 성성한 머리와 눈썹. 마르고 키가 작으신 체구. 안경을 끼고 책을 보고 강독하시다가, 안경을 벗으시면서 이야기를 풀어놓으시곤 했다. 그러면 형형한 문사(文士)의 눈빛을 볼 수 있었다.
어느 날 선생님이 몹시 화를 내신 적이 있다. 당시 육순이 넘으신 할아버지였는데, 선생님은 언성도 눈빛도 무시무시하게 화를 내셨다. 그 날은 '20세기 영시' 기말고사를 보던 날이었다. 선생님이 들어오셔서 시험지를 나눠주셨다. 빨리 시험을 보고 긴 방학을 즐기려는 마음이 급했다. 그런데 맨 뒤에서 남학생이 말했다. "시험지가 모자라는데요?" 그러자, 뒤에 앉은 학생들이 모두 시험지를 못 받았다고 더 달라고 말했다. 그러자 선생님이 크게 노하셨다.
"모두 한 장씩 갖고 돌리면 딱 맞는 것인데, 왜 모자랍니까?"
강의실 안은 찬물을 끼얹은 듯 조용하다가 다시 술렁거렸다. 그까짓 시험지 한 장 더 가진 게 뭐가 그리 큰 잘못이냐는 것이었다. 당시 학생들은 시험을 보면서 문제와 답을 다른 종이에 써놓고 답을 맞춰보거나, 복사해서 후배들에게 나눠주는 사람이 많았다. 또 바로 답안을 쓰는 것이 아니라, 개요를 잡고 문장을 가다듬고 할 연습지로 쓰는 사람도 많았다. 시험지를 채울 시간은 점점 가고 있었고, 뭐 그런 것 갖고 난리냐 투덜대는 이가 많았다. "자신만 두 장을 갖겠다는 생각입니까? 다같이 나눠 가지면 모자라지 않는데, 왜 나만 더 가져야 합니까?"
선생님은 스무 살 남짓한 젊은이들에게 호되게 야단을 치셨다. 나 역시 시험지를 세 장 가지고 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선생님은 그 날 마지막으로 '배운 놈들아, 이기적으로 살지 말아라.' 호통을 치셨던 것 같다.
학점은 나빴지만, 나는 그 후 선생님의 책을 찾아 읽었다. 선생님은 문학과 세상, 시와 정치를 한 종이에 놓고 살피고 계셨다. 선생님은 시인은 심미적 이성으로 세상을 바꿔나갈 수 있으며, 사람들은 의사소통의 합리성으로 대화할 수 있다고 보셨다. 그것은 문학을 전공한 나에게 희망 같이 느껴졌다.
나는 선생님의 책을 읽고 감동했지만, 선생님의 책보다 감동적이었던 것은 선생님 자신이었다. 육순의 연세에 신입생들에게 교양영어부터 가르치시던 선생님. 문학과 역사를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 녹여내어 깨달음을 주시던 선생님은 새 것이 판치는 세상에서 헤진 바지를 입고 계셨다. 저만 더 잘하고, 저만 더 가지려는 이기적인 학생들을 꾸짖으셨다.
선생님은 두 아이의 엄마가 된 '나'라는 사람이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시험지를 세 장 챙겨서 혼난 적이 있는지는 전혀 기억하지 못하실 것이다. 나를 전혀 몰라 주셔도, 선생님이 바른 모습으로 존재하시는 것, 그래서 사람들에게 모범이 되어 주시는 것이 나는 고맙다.
우리 사회에 모범이 없다. 신문을 펼치면 윗분들의 부정과 비리가 허다하다. 그런데도 누구나 자신의 말이 옳다고 주장한다. 좋은 말을 남기기야 그리 어렵지 않겠지만, 말과 행동이 일치하기는 얼마나 어려운가. 나이 먹어서도 이기적이지 말아야지, 말과 행동이 일치해야지, 생각 없는 부모로 살지 말아야지, 다잡게 하시는 선생님은 고마우신 스승님이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