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방구TV 2 : 별별 유형 대탐구 ㅣ 문방구TV 2
문방구TV 지음, 차현진 그림 / 서울문화사 / 2020년 3월
평점 :

요즘 집안 풍경이 다 비슷할것 같아요
사회적 거리두기, 온라인 개학까지.. 그래서 매일 집에만 있는 아이들
그리고 그런 아이들과 매순간 전쟁을 치르고 있는데요
저희집 풍경도 별반 다르지는 않아요
집에 있으니 더 통제가 안되고 온라인 수업 준비를 해야한다고 해도 듣는둥 마는둥
하루에도 몇번이나 속이 터지려 하더라고요
특히 아이들이 3명이다보니 더 정신이 없고 하나하나 다 케어를 해줘야하니
요즘 엄마로서 참 힘들다는 생각을 해요
그런데 한편으로는 밖에서 마음껏 뛰어놀지 못하는 아이들은 얼마나 답답하고 스트레스일까 하는 생각도 하게되네요
그래서 집에서는 되도록 온라인 수업 외에 시간은 즐겁게 보내도록 노력할려고 해요
물론 계획대로 잘 되는건 아니지만요
매일 집에만 있던 책을 읽다가 오늘은 아이들이 배꼽빠지게 웃을 수 있는 책을 준비했어요
평상시에는 교과관련 학습만화만 읽을수 있도록 했는데
요즘 아이들도 웃을일이 많이 줄어서 재미있는 책을 보여주고 싶었어요
유튜브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문방구 TV가 책으로 나왔더라고요
저도 문방구 TV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데 아이들에게 이 책을 보여주니 단번에 알더라고요
문방구 TV는 우리 일상 속 작은 공감을 담은 영상툰을 보여주는 유튜브 였어요
많은 아이들에게 소소한 공감을 대변해 주고 픈 마음에 아빠 마음으로 영상툰을 시작했다고 하네요
다양한 유형, 생활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가지 상황에 대처하는 친구들의 모습 등 실제로 공감할 수 있는 주제와
누구나 한 번쯤 상상해 봤을 상황에 대한 예상 반응을 짧은 마나로 만들었다고 해요
구독자들이 보내주는 아이디어로 탄생한 만화도 있고
문방구 TV만의 유쾌한 병맛 개그가 아이들에게 큰 인기를 끈 것 같았어요
유튜브에서 만날 수 있는 16가지 영상툰을 스마트폰이 아닌 책으로 만날 수 있었어요
공감 유형 만화도 보고, 내 유형도 생각해보고, 방구가 알려주는 작은 상식으로 상식도 쌓을 수 있었어요
문방구 TV가 직접 선택한 영상과 댓글도 볼 수 있었죠
문방구 TV 유튜브를 즐기는건 똑같은데 스마트 폰이 아닌 책으로 즐길 수 있다니 엄마로서는 참 좋더라고요
스마트폰을 오래보면 시력도 걱정이되고 스마트폰 중독이 될까도 걱정이 되는데
이렇게 재미있는 컨텐츠를 책으로 만날 수 있으니 좋은것 같았어요
등장인물은 문방구, 토끼야,시바견,새싹이가 나왔는데
저와 셋째는 시바견이 너무 귀엽다고 하고
첫째와 둘째는 토끼야와 새싹이가 젤 웃기다고 했어요
주사를 맞으러 갔을때 10가지 반응을 살펴보니 저희 아이들도 셋다 다 다르더라고요
고망가는형,폭풍 눈물형, 엄살심한형 제 뱃속에서 나왔지만 정말 셋다 개성이 뚜렷한것 같았어요
아이들이 저는 어떤 유형인지 물어보더라고요 엄마는 어릴때 할아버지가 너무 무서워서 무조건 참는 형이였다고
지금은 어떤아픔인지 잘아니까 그냥 그순간 잘 참을 수 있게 되었다고 너희도 할 수 있다고 이야기해주었어요
말은 그렇게 했는데 저도 사실 주사는 맞기 싫더라고요
한 여름 무더위 이겨내는 8가지 방법도 살펴보았어요
신랑은 에어컨 켜고 보는 형
저는 선풍기 형이나 차가운 물로 씻는 형
첫째는 시원한 것 계속 먹는 형,
둘째와 셋째는 더위를 덜 타는 편이라 욕조 물속에서 계속 노는 형이였어요
이렇게 더위를 이기는 방법도 다양하다는것을 보고
나와 똑같은 유형은 공감해볼 수 도 있었어요
아기로 돌아간다면 천재 아기인 척 할거라 하고,
투명 인간이 된다면 몰래 열심히 게임을 하고 유튜브를 볼거라고 했어요
재미있는 상황에서 우리 아이들은 어떤 유형일지 살펴보고
만약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할건지 이야기도 해보고 너무 재미있는 시간을 보낸것 같아요
간만에 아이들을 실컷 웃게 해준 문방구 TV 책, 재미와 상식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책이였어요
가끔은 이런 재미있는 책으로 아이들에게 웃음도 주고 아이들의 생각에 공감해보는 시간을 가지는것도 좋은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