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타는 날은 온다


 “놀부는 왜 이렇게 심술이 난 걸까?”. <흥부전>을 읽으며 물었더니 아이는 “흥부가 자꾸 밥을 달라고 하잖아”라고 했다. 그리고는 “밥은 어차피 놀부꺼니까 놀부 마음대로 하면 돼”라고 했다. 일곱 살 아이의 영악한 대답이다. 잠자코 있던 아이 엄마도 맞장구를 쳤다. “맞네, 놀부가 가진 것은 놀부 마음대로 하는 게 맞지”. 그러니까 그 누구도 놀부의 재산처분권을 제한할 수는 없다는 논리다. 나도 질 수 없었다. “놀부가 부모님 재산을 독차지해서 부자가 된 거잖아. 그러니까 흥부도 밥을 달라고 할 권리가 있어”. 그러자 아이는 “아니야. 원래 흥부가 태어나기 전에는 놀부 밖에 없었어. 그러니까 전부 다 놀부거야”라고 했다. “무슨 말이야?”. “아빠, 내 동생이 태어나기 전에 아빠가 사준 장난감은 다 내꺼라고 했지? 아빠가 내 장난감은 동생한테 안줘도 된다고 했지? 놀부도 그런거야”.




 그러니까 나는 흥부의 관점에서, 아이는 놀부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읽은 것이다. 이런 차이는 어디에서 생긴 것일까? 육아서에는 늦둥이가 태어나면 큰 아이가 소외감을 느끼기 쉽기 때문에 큰 아이만의 영역을 만들어 주라고 한다. 내 경우에는 동생과 나이차가 한 살 밖에 나지 않아서인지 그런 소외감을 느꼈던 적은 없었는데, 내 아이는 동생과 여섯 살 차이가 나기 때문에 둘 사이에는 시차(視差)가 생기게 된다. 즉 동생에게 형은 자신이 태어나면서부터 항상 있어온 존재이지만, 큰 아이는 동생을 전에 없었다 나타나서 자기 영역을 침범하는 존재로 인식하게 된다. 놀부 심보란 형의 초조함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놀부는 대책 없이 아이만 많이 낳은 흥부에 비해 경제적 합리성이 있었고, 흥부가 자기 주제도 모른 채 제비의 부러진 다리를 고쳐주는 수고를 하는 것에 비해 놀부는 재산 증식의 수단이 된다면 제비 다리까지도 부러뜨릴만큼 과감함도 갖춘 인물이었다. 교육부 공무원이란 자가 “민중은 개돼지라 먹고 살게만 해주면 되고, 신분 격차가 존재하는 사회가 합리적인 사회”라 했다는데, 이런 합리성과 과감함은 제 집에 찾아온 제비의 다리를 부러뜨리는 것과 얼마나 다른 것일까. 


  정부와 개인, 국민과 난민, 부자와 빈자, 정규직과 비정규직, 갑과 을 사이에 시차가 없을 수야 없겠지만 시차를 극복하려는 의지가 부족한 사회는 ‘합리성’이라는 이름의 놀부 심보가 보편화되게 된다. 하지만 다리 부러진 제비도 날아오를 날이 있고, 입에 박씨를 물고 돌아올 날이 있다. 좁은 자기 중심주의를 넘어 내 형제를, 가난한 자를, 심지어 동물까지도 환대하라는 <흥부전>의 정신을 망각한 개인과 사회에게 남은 것은 실렁실렁 박 타는 날 맛보게 될 호된 몽둥이 뿐일지도 모른다. 박 타는 날은 온다.


내일 자 매일신문에 쓴 글이다. 아이에게 동생이 생긴지 이제 3주가 되었다. 나와 내 여동생은 한 살 차이밖에 나지 않지만 아이는 동생과 여섯 살 차이가 난다. 나이 차이는 아무 것도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아이와 <흥부전>을 읽으며 놀부와 흥부의 갈등은 나이 차이에서 비롯하는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니까 나는 내 기억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동생이 내 의식에서 없었던 적은 없었던 것 같다. 나는 동생 없이 일 년을 먼저 살았던 것이 분명하지만 내 의식 속에서 동생은 언제나 나와 함께였다. 그러니 동생을 배제하고 온전히 내 것이라고 생각한 것은 결혼 전까지는 없었다고 할 수 있다. 나는 내 어머니, 아버지 뿐 아니라 장난감, 책, 방까지도 모두 동생과 나눠 써야 한다는 당위를 의심해 본 적이 없었다. 그러니 모든 것을 독차지하려는 놀부가 이상해 보였던 것이다. 하지만 내 아이는 이미 소유 관념을 가지고 있다. 내 아이는 자기만의 장난감, 엄마, 아빠, 방, 악기를 가지고 있다. 그러니 동생은 자기 세계의 침범자가 되는 것이다. 나와 내 동생 사이에는 없었던 시차가 아이와 동생 사이에는 발생하게 된다. 내 아이는 흥부전을 읽으며 흥부는 놀부에 비해 나이가 많이 어릴 것이라 예상했다. 아이 관점에서는 그러니 흥부가 이상해 보였던 것이다. 나는 흥부전을 읽으며 흥부와 놀부는 나이차가 크지 않을 것이라 생각해왔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방식의 읽기가 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두 아이를 보면서 든 생각이 발단이 되었지만, 놀부와 흥부는 강자와 약자의 은유일 것이다. 부자들, 엘리트들은 가난한 사람들과 서민들이 자기 세계의 침범자로 여겨 자신들의 세계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는다. 그들에게 서민들은 내 세계를 끝없이 위협하고, 밥을 달라고 하고, 울고 떼쓰는 존재, 개돼지 같은 존재로 보일 것이다. 요컨대 놀부의 관점에서 흥부는 아이만 무식하게 낳는 동물적인 삶을 사는 존재였을 것이다. 그렇게 보자면 흥부전은 아주 정치적인 이야기가 된다. 제비가 물고온 박씨는 놀부가 지배하는 세계에서 민초들이 꿈꾸는 희망 같은 것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제비가 물고 온 박씨는 놀부의 질서와 놀부 세계의 구조 밖의 어떤 것을 상징하기도 한다. 구조 바깥을 구조 내부로 기입하는 것이 데리다에게는 '글쓰기'(in-scription)라면 흥부전에서의 기입 방식은 명주실로 부러진 제비의 다리를 묶어주는 것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나는 흥부전에서 제비의 다리가 풍부한 의미를 담고 있다는 생각도 하는데 일단 그 부분은 넘어가도록 하자. 여하간 제비, 인간 아닌 것, 동물의 세계, 질서와 구조 밖의 것이 박으로 표상되는 어떤 새로운 것을 가져온다. 그리고 (흥부와 가난한 자의 표상으로서의) 제비는 제 다리를 부러뜨린 자를 결코 용서하지 않는다. <흥부전>은 그런 점에서 종말론적인 이야기고, 혁명에 대한 고대가 있는 이야기고, 동물이든 동생이든 가난한 자든 타자를 환대하라는 무거운 요구를 담은 이야기이지, 단지 착한 사람 복 받는다는 소위 '착한 이야기'라고만 할 수는 없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인간과 자연은 모두 평등하다는 존재론적 진실을 담고 있는 이야기였던 것이다. 


이건 좀 다른 이야기인데, 둘째를 낳은 후 큰 아이가 겪을 심리적 상황에 대한 배려가 필요할 것 같아 육아서들을 찾아 보았다. 대부분 큰 아이만의 독자적인 공간, 소유물을 제공해주라는 이야기가 많았다. 그걸 읽으며 아마 놀부 부모가 흥부에게 그랬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재산은 모두 놀부 네 것이야. 흥부는 침범할 수 없어'. 지혜로운 대처 방식인 줄 몰라도 그 때문에 놀부는 그 때문에 동생을 짐으로 여기고, 제비를 재산증식의 수단으로만 삼았던 것은 아닌가 모르겠다. 


여하간, 박 타는 날은 온다. 실렁실렁 박을 타며 잭팟을 기대하는 이들도 예기치 못한 것을 만나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