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과 정의 - 문학으로 읽는 법, 법으로 바라본 문학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안경환.김성곤 지음 / 비채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책을 접하면 제목에서 막막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일반인인 나에게 있어 법은 어려운 부분이니까. 더구나 폭력과 정의를 어떻게 하나로 설명할 수 있나 하는 의문도 들었다. 물론 이것은 책을 펼치기 전 미리 겁을 먹은 것에 불과했지만. 변호사이자 대학교수로 재직했던 사람이 쓴 글이라 딱딱할거란 선입견을 가졌다 할까나. 소설이나 영화로 비유하며 설명해주니 생각보다 쉽고 재미나 술술 읽혀 내려갔다. 읽은 소설들의 제목을 접하며 다시 기억을 되새겨보는 시간도 되었다. 정유정의《7년의 밤》, 황선미의《마당을 나온 암탉》, 영화 <엽기적인 그녀>, <설국열차>, <부산행>등.


"한 외진 소읍 모퉁이에서 클레어런스 얼 기디언이 연필로 자신의 사연을 적지 않았더라면 그리고 그 사연에 대법원이 귀를 기울이지 않았더라면 미국 역사는 달라졌을 것이다." (p.134) 배고픔을 견디다 못해 빵 하나를 훔친 죄로 죄인이 되어야 했던 장발장은 연상케 하는 '얼 기디언'의 <기디언의 트럼펫>을 보며 '죄인도 변호사의 도움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다. 처음부터 변호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더라면 기디언은 오랫동안 고통받지 않았겠지만 그가 있어 법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다.

한 권의 책을 통해 다양한 소설과 영화를 만나보는 시간이 되었다. 특히《해님 달님》,《빨간 모자》,《백설 공주》등을 통해 성차별을 이야기하는 것은 특색있었다. 동화를 읽었어도 그것이 성차별이란 생각은 못해봤으니까. 남성들의 편견을 잘 보여준 영문학의 고전《선녀여왕》, 아담의 아내는 흙에서 창조된 릴리스라는 여성이었는데 그녀가 도망감으로서 아담의 갈비뼈로 이브를 만들어 준 것이라는 히브리 신화~ 그런 일도 있었어?


(1항)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2항)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헌법 제1조 1항, 2항에 나오는 내용이지만 그것을 믿는 사람은 많지 않다. 민주주의에서 힘은 곧 권력이니까. 성매매여성의 헌법적 권리를 정면으로 내세웠다는 <대한민국 헌법 제1조>라는 영화 꼭 찾아보고 싶어. 무소속 국회의원으로 출마한 성매매여성 고은비는 당선되었을까 그것도 궁금해. 영화를 본 사람은 결말에 대해 알테고 나도 책을 통해 알지만 새로 이 책을 읽을 독자들을 위해 궁금증으로 남겨두는 편이 좋겠지. 영화보다 책을 통해 문화 생활을 즐기는터라 책속에 소개된 영화 중 모르는 것이 더 많다.

강우석 감독의 코미디 영화 <생과부 위자료 청구 소송>도 그중 하나다. 재미난 것은 남편을 상대로 소를 제기한 것이 아니란 점, 과부가 남편이 죽은 여자를 말하는 것이라면 생과부는 남편이 있음에도 부부생활을 못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겠지? 그럼 그 책임을 누구에게 물어야 할까? 명성기 변호사(일산그룹 측 변호인)과 이기자 변호사(이경자 변호인)은 부부지만 변호사로서 재판을 벌여야 한다. 책속에서 모르는 단어 발견 '민춤한'이 '미련하고 덜되다'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여기서 원고가 이경자라면 피고는 회사일까 국가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