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원 - 꿈꿀수록 쓰라린
시즈쿠이 슈스케 지음, 이연승 옮김 / 블루홀식스(블루홀6)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건축설계사무소를 운영하는 아빠 가즈토 씨가 자신이 지은 집을 보여주며 시작된다. 자택에 거주하며 프리랜서 교정일을 맡아하는 엄마 기미요, 그들 부부에게 고등학교 1학년의 아들 다다시와 중3 딸 미야비가 있다. 공부에 관심없는 반면 축구를 좋아하는 아들 다다시와 몸은 약하지만 공부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는 딸 미야비를 보며 부모로서 어떤 감정을 느끼게 될까? 그들 부모는 딸이 아들보다 더 공부를 잘 하는 것을 아쉬워 할까? 아빠 가즈토 씨는 설계사무소를 찾아오는 방문객들에게 자신의 집을 예시로 보여주는데 모델하우스도 아니도 번번히 자신들의 속내(실체)를 보여줘야 하는 다른 가족의 입장은 어떨까?

오랜만에 땅을 촉촉히 적셔주는 반가운 손님 비로 인해 사람들의 얼굴도 밝아졌다. 특히 농사를 지으시는 분들의 얼굴에는 활짝 웃음꽃이 피어나는 것을 볼수있다. 아들 다다시가 약간 엇나가기는 했지만 평범했던 그들의 일상은 외출했던 아들 다다시가 실종되고 아들의 친구가 살해당한 채 발견되며 피해자의 친구인 그가 용의자로 몰리면서 불행의 늪으로 빠져들어가기 시작했다. 소문은 그렇게 무서운 것이다. 주변인들에게 있어 그가 범인이냐 아니냐는 중요치 않다. 주변 시선도 두렵고 매스컴도 무섭다. 사람들은 말한다. '어떤 경우라도 부모는 자식을 믿어줘야 한다'고, 한편 나의 가족이 가해자 혹은 피해자가 되었을때 대처 방법은?

아들 다다시의 결백을 믿는 아빠와 달리 엄마는 아들이 범인일지라도 살아있기만을 간절히 염원한다. 방학 중에 누군가에게 얻어 맞은 듯 심한 멍이 든 얼굴로 들어온 아들, 또 아들은 뭐에 필요했는지 칼을 구입하기도 했다. 혹시 다다시가 친구를 살해하고 도망친 것일까? 대체적으로 아이들은 어려운 일이 벌어져 혼란에 휩싸이게 되면 부모에게 의논을 하려 한다. 그러다 부모가 자신의 믿음대로 일처리를 못하면 그때부터 서서히 비밀을 만들어 가지. 특히 조용히 해결할 수 있는 일을 크게 부풀릴때 그들은 부모에게 실망하게 된다고 말한다. 다다시가 범인으로 살아있는 것이 나을까? 아니면 피해자로서 가해자에게 살해당했다고 가정하는 편이 나을까?

부모로서의 입장을 말하라면 '어떤 경우든 살아만 있어다오'라고 빌고 싶다. 사건을 겪으며 가족들 또한 제각기 다른 입장에 처해지게 된다. ​실종된 다다시가 무사히 돌아오길 바라는 마음은 같지만 그외에는? 염원(念願)이란 마음에 간절히 생각하고 기원하는 것을 뜻한다. 다다시는 살해자일까 피해자일까? 17세 소년에겐 비밀이 많아도 너무나 많다. 자식에 대한 어느정도 정보가 주어졌다면 그것을 바탕으로 믿음을 채워가련만, 이것은 단순히 다다시만의 문제가 아니다. 또래의 청소년들이 겪어가는 문제기도 하다. 이제 유일한 믿음은 실종된 다다시가 모습을 드러내고 진실을 밝히는 것이다. 가능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