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090130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정신분석세미나팀, 여이연

시에 관한 각서 / 김진희, 새움

 김신명숙의 선택 / 김신명숙, 이프

 이것이 내 이야기의 전부는 아니다 / 알리사 발저, 자유시대사

우리들의 하느님 / 권정생, 녹색평론사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페미니스트라는 낙인 - 조주은의 여성, 노동, 가족 이야기
조주은 지음 / 민연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주은아, 물론 네가 많은 상처를 받았다는 거 알아. 그런데 사람들마다 반응은 다 다를 수 있어. 그 정도 상처로 자살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고 너만큼 괴로워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지. 또 어떤 사람은 무시하고 넘어갈 만큼 덤덤한 사람도 있을 거야. 네 마음에 불이 났다면 일단 그 불을 끄는 데 집중해봐. 누가 불을 냈는지 방화범을 잡으로 다니다 집으로 돌아오면 이미 집은 새까맣게 타버렸다는 거지. 일단 네 마음의 불을 끄는 데 집중해라"

자신이 받은 상처를 성찰하면 그동안 방치해두었던 허약하고 어두운 내면을 발견할 수 있다. 끔찍하게 보기 싫겠지만 들여다보아야한다. 자기 상처를 직시하지 않는 사람은 그 어두운 면을 상대방에게 돌려버리기 쉽다. 자신이 얼마나 큰 상처를 받았는지 아느냐며 줄곧 흥분하는 이들이 오히려 타인에게 곧잘 상처를 주는 사람들인 경우가 많다. 사람에게 상처를 받았다고 느낀다면, 그때가 바로 스스로를 깊이 들여다보고 다독거리면서 강인한 내면을 키울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동료들의 작은 행동, 말 한마디에 파르르 떨며 기운을 소진하지 않으면서 자신이 믿는 길을 향해 뚜벅뚜벅 걸어갈 수 있는.

 

나와 마주했던 짧은 시간이 뜻밖에도 많은 긍정의 에너지를 몰고온 것 같다. 거리두기와 다가서기에 대한 분별력이 생긴걸까. 혼란스럽고 조금의 틈도 없이 붙어있던 마음에 약간의 공간이 생긴듯. 귀중하게 얻은 그 공간이 다시 좁혀들어가서 괴로운 마음이 내 마음인지 너의 마음인지 무엇인지 알 수 없어 혼란스러워 하다가 울다 잠드는 일은 없었으면 한다. 오늘도 여전한 사람들은 또 여전한 말들과 행동들을 한다. 이제 전처럼 펄펄뛰면서 흥분하고 속상해하지 않아도 된다는 걸 안다. 순간 기분은 상했지만 이제 그 부정의 기운들에 휩싸여 어쩔 줄 모르는 상태로 나를 내버려 두지 않을거다.

나를 들여다보는데 많은 시간을 보낼생각이다.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언제나 변하지 않는 사실.. 나는 나, 나는 소중하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기말 블루스 창비시선 149
신현림 지음 / 창비 / 199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별한 자가 아는 진실 / 신현림

 

담배불을 끄듯 너를 꺼버릴 거야

 

다 마시고 난 맥주 캔처럼 나를 구겨버렸듯

너를 벗고 말 거야

그만, 너를, 잊는다, 고 다짐해도

북소리처럼 너는 다시 쿵쿵 울린다

 

오랜 상처를 회복하는 데 십년 걸렸는데

너를 뛰어넘는 건 얼마 걸릴까

그래, 너는 나의 휴일이었고

희망의 트럼펫이었다

지독한 사랑에 나를 걸었다

뭐든 걸지 않으면 아무것도 아니라 생각했다

네 생각없이 아무 일도 할 수 없었다

 

너는 어디에나 있었다 해질녘 풍경과 비와 눈보라,

바라보는 곳곳마다 귀신처럼 일렁거렸다

온몸 휘감던 칡넝쿨의 사랑

그래, 널 여태 집착한 거야

 

사랑했다는 진실이 공허히 느껴질 때

너를 버리고 나는 다시 시작할 거야

 

제법 담담하게 이야기 한지 오래전인데.. 실은 아직도 떠오르면 잡히지 않은 답답한 안개로 가득찬 것만 같은 이런 감정들은.. 아직도 그때처럼 똑같이. 미련인가?  아직은 사랑했다는 진실이 공허하게 느껴지지 않아서 일까. 언제쯤 나도 이별에 대한 진실을 알게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국은 아름다움이 우리를 구원할 거야 2 - 현경 순례기 2
정현경 지음 / 열림원 / 2002년 1월
구판절판


이모가 좋아하는 여자중에 컬러퍼플 이라는 책으로 미국에서 퓰리처 상을 받은 앨리스워커라는 작가가 있어. 용감한 여성해방론자이자 흑인 여성작가인 그녀가 쓴 시중에 이런 구절이 있단다.
나는 항상

위험한

젊은 흑인 남자를 사랑했다.

'백인 전용' 이란

팻말이 붙은 바닷가에서

벌거벗고

수영을 하는...

나도 앨리스처럼 그런 용감한 남자를 사랑했었지. 이모에게도 물론 좋은 집안에서 잘 자라서 모범생으로 잘 성장한 성실한 남자 친구도 있었어. 이모가 여자로서 한창 예쁘고 아름답던 시절엔 그런 남자들에게 프로포즈를 받기도 했었지. 그런데 이모는 그런 남자와 결혼할 생각을 하면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 아니? 갑자기 너무 우울해지는 거야. 그 남자와 혼인하는 순간부터 인생이 완전히 끝나버릴 것같이 느껴졌단다. 그런 모범생 남자와 셜혼해서 산다고 상상하면 결혼식에서 장례식까지의 인생 여정이 훤히 보이는 거야. 결혼해서 애 낳고, 차 사고, 집 사고, 아이들 교육시키고, 결혼시키고, 또 그들이 아이 낳는 것을 보고, 죽어서 어느 날 장례식을 치르는 것까지 말이야.

이미 내 인생은 그런 모범생 남자와 결혼하는 순간부터 끝난다는 생각이 들었어. 너무나 일상적이며 판에 박힌 삶. 공장의 컨베이어에서 통조림이 되어 나오는 인생이 생각나는거야. 어떤 여자들은 그것을 행복으로 느꼈을텐데. 이모는 그것을 죽음으로 느껴졌었지. 그 남자와 사랑을 하면 내일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는, 그런 남자와 살고 싶었어. 둘이 같이 태양을 향해 날아가는 비상의 파트너 말야.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도니스처럼 양초 날개가 녹아나 아프게 추락한다 해도, 그 초월을 향한 비상이 없다면, 연애할 필요가 없다고 느꼈지. 이모는 어쨌든 사랑이라는 것이 영원한 생명을 향해 신에게로 두 사람이 날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했어.

-14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국은 아름다움이 우리를 구원할 거야 2 - 현경 순례기 2
정현경 지음 / 열림원 / 200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모가 좋아하는 여자중에 컬러퍼플 이라는 책으로 미국에서 퓰리처 상을 받은 앨리스워커라는 작가가 있어. 용감한 여성해방론자이자 흑인 여성작가인 그녀가 쓴 시중에 이런 구절이 있단다.

나는 항상

위험한

젊은 흑인 남자를 사랑했다.

'백인 전용' 이란

팻말이 붙은 바닷가에서

벌거벗고

수영을 하는...

나도 앨리스처럼 그런 용감한 남자를 사랑했었지. 이모에게도 물론 좋은 집안에서 잘 자라서 모범생으로 잘 성장한 성실한 남자 친구도 있었어. 이모가 여자로서 한창 예쁘고 아름답던 시절엔 그런 남자들에게 프로포즈를 받기도 했었지. 그런데 이모는 그런 남자와 결혼할 생각을 하면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 아니? 갑자기 너무 우울해지는 거야. 그 남자와 혼인하는 순간부터 인생이 완전히 끝나버릴 것같이 느껴졌단다. 그런 모범생 남자와 셜혼해서 산다고 상상하면 결혼식에서 장례식까지의 인생 여정이 훤히 보이는 거야. 결혼해서 애 낳고, 차 사고, 집 사고, 아이들 교육시키고, 결혼시키고, 또 그들이 아이 낳는 것을 보고, 죽어서 어느 날 장례식을 치르는 것까지 말이야.

이미 내 인생은 그런 모범생 남자와 결혼하는 순간부터 끝난다는 생각이 들었어. 너무나 일상적이며 판에 박힌 삶. 공장의 컨베이어에서 통조림이 되어 나오는 인생이 생각나는거야. 어떤 여자들은 그것을 행복으로 느꼈을텐데. 이모는 그것을 죽음으로 느껴졌었지. 그 남자와 사랑을 하면 내일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는, 그런 남자와 살고 싶었어. 둘이 같이 태양을 향해 날아가는 비상의 파트너 말야.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도니스처럼 양초 날개가 녹아녈 아프게 추락한다 해도, 그 초월을 향한 비상이 없다면, 연애할 필요가 없다고 느꼈지. 이모는 어쨌든 사랑이라는 것이 영원한 생명을 향해 신에게로 두 사람이 날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