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증발 - 사라진 일본인들을 찾아서
레나 모제 지음, 스테판 르멜 사진, 이주영 옮김 / 책세상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머릿속으로 일본을 떠올렸을 때 어떤 것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가? 저마다 일본이라는 나라에 대해서 갖고 있는 이미지가 다를 테지만, 나의 경우에는 '정돈된 나라'라는 인식이 강하다. 정돈된 것은 그들의 깨끗한 거리만이 아니다. 일본인들은 태생적으로 그리고 가정과 사회에서의 철저한 교육을 통해 정돈된 삶,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삶을 살아간다. 이러한 일본인들의 성향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고 있다면 어쩌면 <인간증발>에서 사라진 일본인들에 대해서 조금은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책의 제목과 표지만 보고 스릴러 소설 즈음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책장을 넘겨보면 일본의 이면을 꿰뚫어보고 있는 르포 형식의 보고서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책은 프랑스 저널리스트 레나 모제와 그의 남편인 스테판 르멜이 일본의 민낯을 꼼꼼히 기록한 글과 사진을 엮었다. 부부는 5년간 도쿄, 오사카, 후쿠시마 등 일본 곳곳을 돌아다니며 '증발한 사람들'을 만났고 그들의 이야기를 가감없이 기록했다. 


"사람들은 사라진 사람들이 수중기 속에서 과거를 깨끗이 씻어버리려고 온천을 찾아온다고 생각한다. 이 같은 은유에서 증발을 뜻하는 일본어 '죠-하츠'가 유래되었다."


사회에서 사라진 사람들, 누구도 다시는 찾을 수 없는 사람들. 부부는 그들을 '증발한 사람들'이라고 칭하며 그들이 증발을 선택한 이유를 일본이 처한 현실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해마다 10만 명이 증발하듯 사라지고 있는데, 그 원인은 대부분 경기 침체로 인한 파산이나 실직, 이혼 등 비극적 상황이다. 그리고 그들은 이런 상황에서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하거나 '자발적 실종'이라는 외로운 길을 택하게 된다. 


이렇게 자발적 실종을 택하면 대부분 사망자 또는 실종 처리되는데, 그럴 경우 취업이나 금융거래, 사회보장 혜택 등이 어려워 비극적 삶이 지속될 수밖에 없다. 


"1990년대 중반의 어느 봄날 새벽, 유이치는 저렴한 모텔을 알아본 후 병든 어머니를 그곳에 버리고 그대로 달아났다. 쓰레기 채집과 막일을 전전하다가 산야의 이 작은 모텔을 관리하는 일을 맡게 되었다. 그는 2층의 사무실과 투숙객들 사이에서 사는 현재의 삶이 편하다. 산야의 주민 중 몇 명이나 야반도주해서 왔는지, 가명을 사용하는 사람은 얼마나 되는지, 정부의 지원도 전혀 받지 못하고 자급자족하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되는지 아무도 알지 못하고 별로 관심도 없다. 여기서는 모두가 철저한 무관심 속에서 죽어갈 것이다."(85p)


저자들은 그들이 일본에서 만난 자발적 증발을 선택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현장감 있고 진솔하게 다루고 있다. 저널리스트 출신의 저자가 밝히는 자발적 실종자들의 이야기는 생생한 사진들과 함께 배치되어 더욱 고통스럽게 다가온다. 


<인간증발>은 일본 사회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에게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우리 사회 어딘가에도 자발적 증발을 택한 사람들이 있는지, 있다면 지금이야말로 그들에게 손을 내밀 때라고 말한다. 


지금도 여전히, 어딘가에서는 사람들이 증발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